G마켓 카라즈 폴더매트
층간소음기준 입법예고 전후로
놀이방용 매트 판매량 크게 증가
너무 두꺼우면 아이들 다칠수도
소음방지 효과 큰 차이 없어
의자 다리 밑에 붙이는 펠트·캡
‘층간소음 용품’ 구입 늘어
놀이방용 매트 판매량 크게 증가
너무 두꺼우면 아이들 다칠수도
소음방지 효과 큰 차이 없어
의자 다리 밑에 붙이는 펠트·캡
‘층간소음 용품’ 구입 늘어
열두살과 여섯살의 두 아들을 둔 주부 김아무개(41)씨의 집에는 놀이방용 매트가 3개나 있다. 큰 아이 돌 전에 구입한 첫 매트는 ‘안전용’이었다. 혼자 앉지 못하고 자꾸만 고꾸라지는 아이가 다칠까봐 구매했다. 하지만 둘째가 태어난 뒤 구매한 두 번째, 세 번째 매트는 ‘소음 방지용’이다. 5층짜리 빌라의 2층에 사는 김씨는, 아이들 둘이 뛰어다니기 시작하자 윗집·아랫집이 소음에 시달릴까봐 2개의 매트를 더 구매해 거실이며 안방에도 깔았다. 김씨는 매트가 소음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느낀다.
“애들이 매트 안 깐 부분까지 온 집안을 작정하고 뛰면 어쩔 수 없지만, 블럭이나 장난감 때문에 생기는 생활 소음에는 확실히 도움이 돼요.”
김씨는 “10여년 전 큰 아이용 매트를 구매할 때는 종류도 다양하지 않았고 두께도 1㎝ 정도로 얇았는데, 둘째 아이용 매트를 구매하려고 보니 매트들이 두껍고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김씨는 “윗집 텔레비전 소리도 들릴 정도로 방음이 안 되는 집이어서 소음 방지용으로 의자 다리 커버도 사용 중”이라고 덧붙였다.
층간소음을 둘러싼 갈등이 사회문제가 되면서 어린이 놀이방용 매트를 층간소음 방지용품으로 구매하는 이들이 늘었다. 지난 11일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마련한 ‘공동주택 층간소음기준에 관한 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전후 오픈마켓들의 놀이방용 매트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많게는 갑절까지 늘었다. 지마켓은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층간소음방지매트 판매량이 직전 4일(4월6일~9일)보다 61% 늘고 전년 동기대비 109% 늘었다고 밝혔다. 옥션에서도 같은 기간에 전년 동기 대비 놀이방매트 판매가 245% 늘었고 인터파크에서도 같은 기간 직전 4일 대비 6~9일 대비 놀이방 매트 판매량이 27% 늘었다.
현재 소음방지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놀이방 매트는 일체형(롤형) 매트, 퍼즐·조립식 매트, 폴더매트 등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푹신한 감촉에 복원력이 좋고 무게감이 있어 쉽게 밀리지 않는 피브이시(PVC. 폴리염화비닐) 재질의 일체형 매트는 꾸준히 인기가 있다. ‘아소방’(아파트 소음 방지) 등 소음방지에 특화된 롤형 매트를 제작해 어린이 매트 시장 점유율 40%를 차지하고 있는 엘지(LG)하우시스 쪽은 “자사 피브이시 롤형 매트는 펼쳤을 때 경계선 없이 면이 하나로 균일하기 때문에 물리적 충격 흡수가 균일하다”고 설명했다.
퍼즐·조립식 매트의 장점은 확장성이다. ‘에코폼’ 브랜드로 층간소음 방지매트를 제작하는 새한테크 신동현 대표는 “가정에서 매트를 4~5장 도배하는 경우가 많다. 퍼즐식 매트는 조립이 안정적이라 아이들이 매트와 매트 사이 뛰어다닐 때 다치는 사고를 예방한다”고 말했다. 폴더형 매트는 접고 펼 수 있어 아이들 놀이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다른 매트들보다 두껍게 제작된 경우가 많다. ‘카라즈’의 김재욱 영업부문 과장은 “카라즈 폴더매트는 두껍고 가벼운 피이(PE. 폴리에틸렌) 소재 등을 8겹을 겹쳐 넣어 4㎝ 두께로 만들었다. 충격을 완화하고 소음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매트의 두께는 대부분 1.5㎝~4㎝ 사이다. 두꺼울수록 소음방지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적정 두께’가 있다고 설명한다. 신동현 세한테크 대표는 “두께 2.5㎝제품과 4㎝ 제품의 소음절감 정도를 비교해 봤을 때 경량 충격(아이들이 걷는 정도)에서는 차이가 없고 중량 충격(아이들이 쿵쿵 뛰는 정도)에서 몇 데시벨(㏈) 정도 차이가 날 뿐이었다. 비용 대비 큰 차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두꺼울 경우 안전에도 방해가 될 수 있다. 김재욱 카라즈 과장은 “4㎝ 이상 두께에서는 오히려 아이들이 턱에 발을 걸려 넘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층간소음 논란 뒤 어린이 매트 시장은 커지는 추세다. 업계는 2013년 어린이 매트 시장규모를 300억원으로 추산했다. 2012년 260억원에 비해 15.4% 성장한 규모다. 놀이매트는 어린이 안전용품에서 층간소음 용품으로 자리잡았다. 어린이 매트 제조·판매 업체 ‘카라즈’는 올해 초 기존 매트에 소음 방지 시험성적서를 받았다. 지난해 매출 20% 이상 신장을 이룬 이 업체는 내장재를 보완한 층간소음 방지용 보급형 매트를 새 제품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엘지하우시스도 소음에 특화한 ‘아소방’ 매트를 2008년 새로 내놓기도 했다. 새한테크의 경우는 반대로 방음자재·방음매트에서 시작해 5~6년전 어린이 매트 시장에 뛰어들었다.
매트뿐 아니라 의자 다리 밑에 붙이는 펠트(데코보드)·의자캡도 ‘바닥 보호 용품’에서 ‘층간소음 용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생활안전용품 제조업체 ‘생활낙원’의 김기석 대표는 “1997년에 데코보드·의자캡을 처음 만들었을 때는 ‘테니스공’ 대용의 바닥 보호 용품이었다. 예전에는 ‘봄맞이 집단장 용품’으로 마트 등에서 판매됐는데 지금은 ‘층간소음 용품전’에서 팔리는 상품이 됐다”고 말했다.
김효진 기자 july@hani.co.kr, 사진 각 사·지마켓 제공
LG하우시스 아소방매트
에코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