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등 저렴한 선물 예약 집중
전체 물량 절반 3만원 이하로 구성도
프리미엄 선물세트로 차별화 전략도
‘굴비 2마리’ 1인가구 맞춤형도 눈길
전체 물량 절반 3만원 이하로 구성도
프리미엄 선물세트로 차별화 전략도
‘굴비 2마리’ 1인가구 맞춤형도 눈길
대형마트에서 올해 설 선물세트 예약판매 단가가 2만원대에 집중되고 있다. 업체들은 저렴한 선물세트 비중을 늘리거나 반대로 프리미엄 상품에 집중하는 등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마트는 지난해 추석 선물세트 판매 결과 1만원 이하 선물세트의 매출은 12% 줄고, 30만원 이상 프리미엄 선물세트의 매출이 32% 늘었다는 점을 들며 올 설에는 프리미엄 선물세트를 전체의 23%(기존 12%)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유명 산지에서 어획한 굴비·갈치·자연산 대하를 선보이고 랍스터·연어·전복 등 ‘고급 수산물 골라담기 세트’도 내놨다. 횡성 암소 한우 세트, 마블링이 좋은 부위를 모은 한우 구이 세트 물량도 늘렸다. 950g이상의 고급 배만 선별한 ‘왕배 세트’도 내놨다.
롯데마트에서도 프리미엄 선물세트를 늘렸다. 등심·채끝·치마살 등 한우 구이용 부위를 모은 상품, 밀양 얼음골의 530g 이상의 사과만 모은 상품, 랍스터·전복 혼합세트 등을 판매한다. 필리핀 망고·이탈리안 골드키위·이스라엘 자몽 등 수입과일 세트도 지난해의 2배 가량(7만 세트) 준비했다.
홈플러스는 실속형 선물세트에 집중한다. 전체 선물세트의 절반 가량인 1800여종을 3만원 이하 상품으로 구성했다. 건강식품을 지난해 설 92종에서 올해 893종으로, 통조림을 65종에서 326종으로 늘리는 등 잘 팔리는 상품에 집중하고 선호도가 감소하고 있다고 본 굴비는 23종에서 15종, 올 겨울이 비교적 덜 추운 점을 감안해 내복 등 이너웨어는 1633종에서 443종으로 대폭 줄였다.
롯데백화점은 이번 설에 10만원 미만의 실속 선물세트 종류를 20% 늘렸고(800종) 성심당·김영모 과자점 등 지역 제과 명점의 상품도 내놓는다. 지난해 이른 추석으로 소비가 둔화 된 청과를 작년 대비 10~20% 싼 가격으로 내놨고, 조업량이 줄어든 굴비도 가격 인상폭을 30% 이하로 최소화 했다는 설명이다.
현대백화점은 올해 설에도 실속 소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산지가격이 5~10%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청과 물량을 역대 최대인 4만5000세트 준비했다. 값이 오른 굴비 대신 갈치·옥돔·전복 물량을 30% 늘렸다. 10만원대 실속형 한우 선물세트 물량을 30% 늘렸고, 곶감 시세가 10~20% 낮게 형성되자 할인율을 강화하며 공세에 나섰다. 10년 이상 숙성된 토종꿀, 드라이에이징 한우(고기를 공기 중에 노출한 상태로 숙성) 등 차별화 상품을 내놨고 지역 명인들이 만드는 토속식품 ‘명인명촌’ 브랜드도 강화한다.
신세계백화점은 두 마리씩 포장한 굴비, 뼈를 발라낸 갈치 등 1~2인 가구에 맞춘 선물세트를 기획했다. 책처럼 접혀 부피를 줄인 수삼, 해수와 산소공급기를 함께 포장해 신선도 지속 시간을 늘린 전복 등 소비자 편의·서비스에 집중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올해 처음 선보인 20만원대 한우세트가 계획대비 168% 팔리는 등 예약판매(1월16일~2월1일) 기간 중 실속형 상품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전했다.
갤러리아백화점도 4입 청과세트 등 1~2인 가구를 겨냥한 제품을 준비했고, 마블링이 좋은 7가지 부위를 모은 한우, 디톡스 주스, 호놀룰루쿠키 등 이색 상품도 강화했다.
에이케이(AK)플라자는 소포장·2~5만원대 실속 세트를 확대하는 한편, ‘맛의 방주’를 주제로 제주 댕유자, 흑우, 장흥돈차, 감홍로주, 토하젓 등 사라져가는 전통 먹거리 선물세트를 이색상품으로 준비했다.
김효진 기자 ju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