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장어 파동 이후 잇따른 식품 파동으로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면서 품질 인증을 받은 `웰빙' 먹거리가 각광을 받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 이마트의 경우 8-9월 유기농 계란 등 품질인증 계란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0% 늘어났으며, 이달 들어서는 340%의 높은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친환경 쌀은 8월 들어 지난해 동기보다 2배 이상 매출이 늘었으며, 친환경 야채도 이달 들어 매출이 15% 가량 늘어났다.
현대백화점은 지난 8월 초 유기농 사료로 먹여 키운 돈육을 선보였다.
일반 돈육보다 2-3배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관심이 높은 40-50대 주부 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현대백화점 상품본부 정연성 과장은 "공급량이 한정돼 있어 2주에 6-7마리를 판매하고 있는데 매장에 내놓기가 무섭게 팔려나간다"고 말했다.
현대백화점은 이달 중에 유기농 인증을 받은 고향닭을 선보일 예정이다.
친환경 농산물 판매도 꾸준히 늘어 전체 농산물 가운데 친환경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25%에서 올해 8-9월에는 30%로 높아졌다.
홈플러스의 경우 친환경 유기농 채소와 과일 등을 한곳에 모아 판매하는 친환경 유기농 매장의 매출이 8-9월 전월 대비 20-25%의 신장률을 보였다. 홈플러스는 친환경 품질 인증을 받은 상품을 지난해보다 20-30% 늘리고, 친환경 유기농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제주도, 강원도, 전라도 등 지역 특산물전도 매년 4회 정기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그랜드마트도 8월 1일부터 이달 6일까지 친환경 유기농 야채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가량 늘어났다. 롯데마트에서는 지난 7월 말 중국산 장어 파동 이후 수산물 대체 수요로 닭고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18.1% 증가했다. 황윤정 기자 yunzhen@yna.co.kr (서울=연합뉴스)
홈플러스의 경우 친환경 유기농 채소와 과일 등을 한곳에 모아 판매하는 친환경 유기농 매장의 매출이 8-9월 전월 대비 20-25%의 신장률을 보였다. 홈플러스는 친환경 품질 인증을 받은 상품을 지난해보다 20-30% 늘리고, 친환경 유기농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제주도, 강원도, 전라도 등 지역 특산물전도 매년 4회 정기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그랜드마트도 8월 1일부터 이달 6일까지 친환경 유기농 야채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가량 늘어났다. 롯데마트에서는 지난 7월 말 중국산 장어 파동 이후 수산물 대체 수요로 닭고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18.1% 증가했다. 황윤정 기자 yunzhen@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