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분석…의류 반품·환급 거절 피해 최다
“계좌이체보다 신용카드·에스크로 결제 해야 피해구제 용이”
“계좌이체보다 신용카드·에스크로 결제 해야 피해구제 용이”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제품을 싸게 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해외직구’는 이제 흔한 일이 됐다.
그러나 사업자가 외국에 있다는 점을 악용해 반품·환급을 거부하거나 반품 시 과도한 배송비·위약금을 요구하는 사례도 많아 주의하는 게 좋겠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상담 건수가 1만52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천118건)보다 72%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구매 유형별로는 일반 인터넷쇼핑몰 피해가 5천205건으로 전체의 49.5%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지난해 상반기 476건에 불과했던 해외거래 관련 피해는 3천898건으로 약 8.2배 늘어 전체 피해사례의 37%를 차지했다. 해외 쇼핑몰은 특성상 거래조건이 다양하고 청약 철회 등 방법이 국내와는 달라 소비자 피해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피해 유형별로는 계약취소에 따른 반품과 환급 거절에 5천54건으로 전체 피해사례의 가장 많은 48%를 차지했다. 배송지연, 쇼핑몰 운영중단과 폐쇄, 연락불가, 제품 불량이 뒤를 이었다.
특히 반품·환급 거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은 지난해 2천145건에서 5천54건으로,배송지연에 대한 불만은 1천204건에서 3천374건으로 대폭 늘었다.
피해 품목별로는 의류와 속옷이 전체 피해사례의 48.7%를 차지했으며 패션잡화와 귀금속, 유·아동용품과 완구, 가구와 주방 잡화 순이었다.
피해 연령대는 30대와 20대가 각각 30%로 가장 많았다. 또 해외거래 주 소비자층인 10대는 지난해보다 93.5%, 20대는 82.2%의 피해 증가율을 보였다.
한편, 센터는 전체 피해신고 중 5천861건에 대해서는 법률에 따라 구제받을 방법을 안내했고 4천566건에 대해선 직접 구제해줬다고 밝혔다. 환급·배상액은 약 6억 7천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06% 증가했다.
장영민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하다 피해를 본 시민은 센터 누리집(http://ecc.seoul.go.kr)이나 다산콜센터(120)에 신고해달라”며 “또 계좌이체보다는 신용카드나 에스크로 등 구매안전서비스로 결제하는 것이 피해를 구제하는 데 쉬울 수 있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