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입찰 마감…결과는 12월중 발표
서울 시내 면세점 특허 입찰 마감일인 4일 대기업 5곳이 신청서를 냈다. 이로써 서울 시내 면세점 중 대기업에 배정된 3장의 특허권을 따내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시작됐다. 관세청은 정부 관계자와 민간인 전문가를 모아 특허심사위원회를 꾸려 기업 심사에 들어가고, 그 결과는 12월 중 발표한다.
참여한 업체는 롯데면세점, 에스케이(SK)네트웍스, 현대백화점, 에이치디시(HDC)신라면세점, 신세계디에프(DF) 등 5곳이다. 이들 기업은 입찰 마감을 앞두고 입지적 강점을 내세운 면세점 후보지 등을 앞다퉈 발표했다. 입찰 참여 5개 기업 가운데 4곳은 면세점이 한 곳뿐인 강남권을 공략한다. 현대산업개발과 호텔신라가 합작해 만든 에이치디시(HDC)신라면세점은 지난달 28일 서울 삼성동 아이파크타워를 면세점 2호점 후보지로 선정해 서울 시내면세점 신규특허 입찰에 참여한다고 28일 밝혔다. 신세계면세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디에프(DF)도 같은날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인접한 센트럴시티를 면세점 후보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현대백화점그룹은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을 일찌감치 면세점 후보지로 내세웠다.
지난해 말 재승인에 실패해 영업이 중단된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과 에스케이(SK)네트웍스의 워커힐면세점도 사활을 걸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 두 곳이 모두 사업권을 따내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면세점은 중국인 여행객 등의 구매로 다른 유통업에 견줘 매출이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최신원 에스케이네트웍스 회장은 지난달 이사회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해 반드시 특허를 되찾아오겠다”고 말하는 등 면세점 사업에 대한 공격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신세계디에프(DF)가 면세점 후보지로 선정해 발표한 센트럴시티 전경 신세계디에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