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세계 최초로 자바(Java) 기반 스마트폰을 개발했다.
LG전자는 이번에 개발한 자바 기반 스마트폰이 유럽통화방식인 GSM(2세대)과 GPRS(2.5세대) 방식을 지원하며 1메가 픽셀의 고화질 카메라 탑재,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동영상 촬영 등의 첨단 기능을 지원한다고 8일 밝혔다.
자바 기반 스마트폰 개발은 리눅스 뿐 아니라 자바 또한 휴대전화의 대안적 운영체제(OS)가 될 수 있다는 기술적 사례로 평가 받을 수 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지금까지 자바 애플리케이션은 게임 등 일부 기능들에 국한돼 사용됐으나 이번 LG전자의 스마트폰은 전체 소프트웨어(SW)에 기반이 되는 OS 자체를 자바 기반으로 설계한 특징을 갖고 있다.
LG전자의 자바 기반 스마트폰은 전화번호부, 이메일 등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모든 기능들과 유저 인터페이스 (UI) 부분까지 자바 언어로 프로그래밍 돼있어 사용자들은 기존 핸드폰보다 월등히 뛰어난 자바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PC기반의 자바 애플리케이션들을 핸드폰에 탑재할 수 있게 됐고 향후 핸드폰과 PC간 통합(Convergence)이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LG전자는 전망했다.
LG전자는 자바 기반 스마트폰 개발을 위해 미국 사바지(SavaJe)사와 약 1년간 공동 개발을 해왔으며 현재 자바 기반 스마트폰에 대해 오렌지, 보다폰 등 주요 유럽 사업자들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LG전자 단말연구소 소장인 안승권 부사장은 "세계 최초의 자바 기반 스마트폰 개발로 LG전자의 기술력이 대외적으로 또 한번 입증됐다"며 "LG전자는 심비안, 마이크로소프트뿐 아니라 자바 기반 OS까지 확보함에 따라 향후 급성장이 예상되는 스마트 폰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계 스마트폰 OS시장은 노키아 주도의 심비안과 마이크로소프트로 크게 양분돼 있으며 그외 팜, 리눅스 등도 활용되고 있다. 류현성 기자 rhew@yna.co.kr (서울=연합뉴스)
한편 전세계 스마트폰 OS시장은 노키아 주도의 심비안과 마이크로소프트로 크게 양분돼 있으며 그외 팜, 리눅스 등도 활용되고 있다. 류현성 기자 rhew@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