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가 1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제공
최저임금 인상에 불만을 품은 편의점 업주들이 동맹 휴업을 불사하겠다며 단체행동에 나섰다. 하지만 편의점 업계에선 계약 관계상 휴업은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어, 이들의 실제 대규모 휴업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씨유(CU)·지에스(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4개 편의점 업체 가맹점주 3만명으로 구성된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는 1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올해 최저임금이 16.4% 인상된 데 이어 내년에도 추가 인상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편의점 점주들이 인건비 압박을 견딜 수 없다”며 “내년도 최저임금의 대폭 인상을 추진하려는 계획을 철회하고 최저임금을 동결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결과에 따라 전국 7만 편의점의 동시 휴업도 추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협회는 “영업이익이 낮고 24시간 운영해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가장 민감한 업종이 편의점”이라며 “올해 최저임금이 7530원으로 인상되면서 편의점은 정상적 운영을 못하는 등 한계에 다다른 상태다”고 주장했다. 이어 “편의점 점주들이 아르바이트생보다 적은 수익으로 연명하거나 폐업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 연쇄 폐업도 예상된다”며 최저임금의 업종별 차등화와 내년도 최저임금 동결, 영세·중소 가맹점의 신용카드 수수료 우대 구간 확대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협회는 내년도 최저임금이 대폭 인상될 경우를 대비해 야간 시간대에 상품 및 서비스 판매가격을 5∼10% 올려 받는 ‘야간 할증제’와 마진율이 낮은 종량제 봉투 판매, 교통카드 충전, 공병 매입 등 공공기능 축소 및 거부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점주들의 단체행동에 편의점 업계는 화들짝 놀란 눈치다. 하지만 24시간 영업을 기본으로 한 계약 관계상 대규모의 동맹 휴업은 이뤄지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한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오죽 답답하면 휴업 얘기까지 나왔겠느냐”며 “그만큼 힘들다는 의미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편의점 업계 관계자도 “현수막을 걸고 정부 정책에 항의하는 정도야 가능하겠지만, 계약 관계상 휴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일단 최저임금위원회의 결정을 보고 휴업을 하겠다고 한 것이니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홍성길 협회 정책국장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최저임금 인상 정책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1~2일 정도 심야시간대에 문을 닫는 휴업을 추진 중이다. 확대 동맹 휴업을 위해 가맹점주들을 설득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정국 기자
jgle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