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마트카드 장당 최고 3800원 인상요구
카드업계 “대주주인 서울시도 비용 부담해야”
후불제 교통카드 운용을 맡고 있는 한국스마트카드(KSCC)가 수수료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카드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후불 교통카드는 교통카드 겸용 신용카드로, 교통요금을 먼저 넣은 뒤 사용하는 일반 교통카드와 달리 한달 뒤 결제가 이뤄진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26일 “서울시로부터 교통카드 운용 독점권을 부여받은 한국스마트카드가 이달 말부터 기존 후불제 교통카드 계약이 끝나는 카드사에게 향후 카드 신규 발급때 장당 최고 3800원의 수수료 추가 부담을 요구하고 있어 카드사 반발이 크다”고 말했다.
현재 씨티(한미)은행 카드와 하나은행 카드는 지난 9월 한국스마트카드의 조건을 받아들여 재계약을 마쳤으나 12월에 계약이 만료되는 삼성카드와 신한카드, 외환카드, 롯데카드는 이에 반발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밖에 엘지카드와 케이비(KB)카드, 비씨카드, 현대카드는 내년 6월께 재계약이 예정돼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서울시가 2004년 영업개시 이후 발생한 375억원 규모의 누적적자를 카드사에 전가하려 한다”며, “이를 받아들이면 카드업계 전체에 연간 250억원 규모의 추가 부담이 발생해 소비자들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카드업계는 한국스마트카드의 적자가 서울시의 시스템 추가 요구와 시행 초기 시스템 에러에 따른 것인만큼 대주주인 서울시도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스마트카드 관계자는 “서울시는 교통카드 사업으로 한푼도 버는 게 없는 만큼 추가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부담은 서울시와 함께 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카드사들이 분담해야 한다”며 “12월 계약사들과는 협상이 진척돼 합의점을 찾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조성곤 기자 c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