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위스키 소비가 감소세를 멈추고 증가세로 돌아섰다.
6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위스키 판매량은 268만3천900 상자(500㎖ 18병 기준)로 집계됐다.
이는 2004년의 263만3천706 상자에 비해 1.9% 늘어난 것이다.
위스키 판매량은 앞서 전년 대비 2001년 20%, 2002년 12% 가량 증가했다가 불황이 닥치면서 2003년 10.3%, 2004년 17.7% 각각 급감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 원액 숙성 17년 이상의 슈퍼프리미엄급 제품과 그보다 한단계 아래인 12년산 프리미엄급 제품이 각각 63만9천114 상자, 200만6천841 상자씩 팔려 2.9%, 2.8%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가장 아래 등급으로 해마다 급감세를 보여온 스탠더드급은 지난해에도 3만7천945 상자 밖에 안팔려 37.3% 뒷걸음질쳤다.
이에 따라 업계 일각에서는 민간소비 활력 회복 조짐을 조심스럽게 거론하는 가운데 소비 양극화와 맞물려 위스키 소비도 양극화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나아가 위스키뿐 아니라 맥주, 소주 등 주류시장 전체가 올해에는 소폭이나마 성장할 것이라고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맥주, 소주의 전체 판매량이 아직 정식으로 집계돼있지는 않지만 전반적인 경기 위축 흐름이 지속된 탓에 맥주 소비는 줄고 소주 소비도 거의 정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지난해 위스키 업체별로는 국내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임페리얼, 발렌타인 등을 가진 진로발렌타인스가 윈저, 조니워커 브랜드의 디아지오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 34.1%로 1위에 올랐다. 디아지오는 32.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또 진로 인수로 유통 파워를 강화한 하이트맥주 계열 하이스코트가 랜슬럿 제품을 앞세워 무려 37.7%의 판매 증가율을 보이면서 점유율을 3.9%(2004년)에서 5.2%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14% 가량 마이너스 성장한 페르노리카를 크게 앞질렀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서울=연합뉴스)
지난해의 경우 맥주, 소주의 전체 판매량이 아직 정식으로 집계돼있지는 않지만 전반적인 경기 위축 흐름이 지속된 탓에 맥주 소비는 줄고 소주 소비도 거의 정체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편 지난해 위스키 업체별로는 국내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임페리얼, 발렌타인 등을 가진 진로발렌타인스가 윈저, 조니워커 브랜드의 디아지오를 제치고 시장 점유율 34.1%로 1위에 올랐다. 디아지오는 32.5%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또 진로 인수로 유통 파워를 강화한 하이트맥주 계열 하이스코트가 랜슬럿 제품을 앞세워 무려 37.7%의 판매 증가율을 보이면서 점유율을 3.9%(2004년)에서 5.2%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14% 가량 마이너스 성장한 페르노리카를 크게 앞질렀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