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에스(GS)리테일과 지에스(GS)홈쇼핑이 합병해 자산 7조원의 커머스 기업으로 거듭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는 유통계의 대세 흐름에 맞춰, 오프라인(지에스리테일)과 온라인(지에스홈쇼핑) 유통의 결합으로 시너지를 낸다는 전략이다.
지에스리테일과 지에스홈쇼핑은 10일 이사회를 열고 이같은 합병 안건을 통과시킨 뒤 오후에 공시했다. 지에스리테일이 홈쇼핑을 합병하는 형태로, 합병비율은 1대4.22주다. 지에스홈쇼핑 주식 1주당 리테일 신주 4.22주가 배정된다. 지에스 쪽은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와 내년 5월께 열릴 주주총회 등을 거쳐 7월까지 합병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번 합병이 성사되면 자산 9조원, 연간 취급액 15조원, 하루 거래 600만건에 이르는 초대형 온·오프라인 겸업 단일 유통기업이 탄생한다. 지에스리테일은 지에스25와 슈퍼마켓 등 전국 1만5천개 이상의 점포망을 보유하고 있다. 지에스홈쇼핑은 3천만에 가까운 홈쇼핑 시청가구와 함께 180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모바일 쇼핑앱을 운영 중이다.
두 회사는 합병으로 리테일 쪽이 가진 구매력(바잉파워)과 홈쇼핑이 보유한 판매력(세일즈파워)를 극대화하고,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업에서 서로의 고민을 해결하고 성장의 돌파구를 찾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에스리테일은 홈쇼핑 쪽의 온라인 판매 역량으로 편의점 등의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기존 홈쇼핑 영역은 리테일이 보유한 점포망과 물류 인프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국내·외 주요 유통사들의 온오프를 아우르는 전략이 지에스 쪽에도 자극제가 됐다. 아마존이 아마존고, 아마존프레시, 홀푸드 같은 오프라인 점포로 확장하고, 쿠팡이 대규모 물류배송 인프라와 결합한 서비스 차별화를 이루는 등 온라인 커머스 시장의 경쟁 우위로서 오프라인과의 결합이 ‘대세’이기 때문이다. 네이버쇼핑과 씨제이(CJ)대한통운간 협력도 이뤄졌다.
합병법인 지에스리테일은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커머스 플랫폼’을 목표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합하고, 충성고객 확보 및 상품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2020년 연간 취급액 15조원에서 연평균 10% 이상 성장해 2025년 기준 취급액 25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채널 통합에 집중하여 현재 2.8조원 규모인 모바일 커머스 채널의 취급액을 7조원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날 이사회 결의 이후 지에스리테일 허연수 부회장은 “두 회사는 ‘밸류(가치) 넘버원’이라는 지에스의 가치를 공유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왔다”며 “어느 때 보다 경영환경이 불확실하고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시기, 두 회사의 사업역량을 한데 모아 더 큰 고객 가치를 만드는 일에 함께 매진하자”고 임직원들에게 메시지를 보냈다. 지에스홈쇼핑 김호성 사장도 “변화를 받아들이고 혁신을 지속하는 지에스홈쇼핑 임직원의 디엔에이가 더 큰 터전 위에서 크게 뻗어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