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현식 엘지유플러스(LGU+) 대표이사가 16일 오후 서울 용산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가입자 정보 유출과 인터넷 장애 사태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앞으로는 사이버 보안 혁신 활동을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우리는 이번 일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황현식 엘지유플러스(LGU+) 대표이사가 최근 가입자 정보 유출과 거듭된 인터넷 접속 장애 등 보안 문제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사태가 발생한 지 40여일 만이다. 황 대표가 보안 투자를 1천억원 규모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본사 1층에서는 “회사와 직원들에게 투자하지 않는 경영진은 각성하라”는 노동조합 주관 피켓 시위가 벌어졌다.
엘지유플러스는 16일 오후 2시 서울 용산구 엘지유플러스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발생한 고객 개인정보 유출과 디도스(DDoS·분산형 서비스 거부) 공격을 막지 못해 반복된 인터넷 서비스 장애 등 보안 사고에 대해 사과했다. 이 자리에는 황 대표를 비롯해 권준혁 부사장(네트워크 부문), 이상엽 최고기술책임자(CTO), 정수헌 부사장(컨슈머부문), 박형일 부사장(홍보·대외협력센터장), 최택진 부사장(기업부문)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황 대표는 “정보 유출로 불안해하시는 고객 여러분과 인터넷 서비스 오류로 혼란을 겪으신 소상공인 여러분, 그리고 국민 여러분께 이 자리를 빌어 머리숙여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고 말했다. 또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 대책을 담은 ‘사이버 안전혁신안’을 발표하고, 전사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책임자(CISO·CPO)를 대표이사(CEO) 직속 조직으로 전환해 “대표가 직접 보안을 챙기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발표된 사이버 안전혁신안에는 정보보호 조직·인력·투자 확대, 외부 보안전문가와 취약점 사전점검·모의해킹, 선진화된 보안기술 적용 및 미래보안기술 연구·투자, 사이버 보안 전문인력 육성, 사이버 보안 혁신 활동 보고서 발간 등의 계획이 담겼다.
통신 3사 중 정보보호 투자가 유독 낮다는 지적을 받은 부분과 관련해선, 향후 정보보호 투자를 1천억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보상안에 대한 구상도 내놨다. 정보가 유출된 가입자만이 아니라 전체 모바일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USIM)을 무상으로 교체해주고, 정보 유출에 따른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한 ‘스팸전화알림’ 서비스도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 학계, 법조계, 시민사회단체 등 외부 전문가와 ‘피해지원협의체’를 구성해 피해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엘지유플러스 경영진이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보안 사고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한 16일, 본사 1층에서 민주유플러스노동조합이 “회사와 직원들에게 투자하지 않는 경영진은 각성하라”는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임지선 기자
이날 간담회에선 거듭된 보안 사고에도 경영진의 사과가 늦은 이유를 묻는 질문도 이어졌다. 황 대표는 “그 부분은 정말 죄송스럽고, 제 불찰”이라며 “사안이 어느 정도 종료되어야 하는데, 최근까지 디도스 공격이 이어져 이걸 막아내는데 총력을 기울이다 보니 외부 사과나 입장문이 늦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자간담회가 열린 엘지유플러스 본사 1층에서는 경영진을 규탄하는 피켓 시위가 벌어졌다. 김대중 민주유플러스노동조합 정책국장은 “경영진이 1조원대의 역대급 영업이익에도 불구하고 비용 효율화만을 앞세워 정보보호나 인력 등에 투자하지 않고 직원들에게 고통분담만을 강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