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 “1만~5만원 혜택”…경쟁사들 “지켜보겠다”
케이티에프가 보조금 허용 보름여 만에 지급액을 인상해 이동통신 업계의 보조금 경쟁이 다시 불붙을 조짐이다. 이에 따라 보조금 추가 인상을 기다리는 소비자들의 대기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반면 이미 단말기를 바꾼 소비자들로부터는 불만이 터져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케이티에프는 13일 휴대전화 보조금을 장기·우량 고객에 초점을 맞춰 인상하기로 하고 정보통신부에 변경 약관을 신고했다. 케이티에프는 애초 12개였던 등급을 18개로 세분화시켰고, 몇몇 구간에 대해서는 보조금 액수를 인상했다. 케이티에프는 “고객의 3분의 2 가량이 기존보다 1만∼4만원의 보조금 혜택을 추가로 받을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보조금 인상은 에스케이텔레콤과의 경쟁력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고객 등급이 에스케이텔레콤과 똑같이 만들어졌고, 7만원 이상 우량 고객 구간에서 보조금을 더 주는 방식으로 조정됐다. 엘지텔레콤과 비교해서도 1~2만원이 더 많다.
이달 들어 보조금이 허용되면서 에스케이텔레콤이 가입자들을 쓸어간 반면, 케이티에프는 가입자 유치가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고전을 거듭했다. 에스케이텔레콤은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가입자 3만3046명을 늘려 이동통신사 신규 가입자의 79%를 차지했다. 반면 케이티에프는 가입자가 오히려 1078명이나 줄었다. 엘지텔레콤은 가입자 9837명을 늘려 선전한 편이다. 에스케이텔레콤이 기기변경 등을 통해 가입자 이탈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반면 케이티에프는 번호이동 유입이 급격히 줄고 010 신규 가입자 유치도 성과를 못한 것이 원인이 됐다.
경쟁사들은 케이티에프의 보조금 인상에 다각적인 대응책을 검토중이다. 에스케이텔레콤 관계자는 “당장 보조금 조정 계획은 없다”며 “인상도 부담이고 단말기를 미리 바꾼 소비자들의 불만도 예상되는 만큼 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엘지텔레콤 관계자는 “시장 돌아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해 여운을 남겼다. 그러나 보조금 인상으로 신규 가입자들이 케이티에프로 몰릴 경우 경쟁사들도 보조금을 추가로 인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보조금 추가 인상이 가능한 오는 26일까지는 소비자들의 대기 심리가 그대로 유지될 전망이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