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문자서비스(SMS)의 낮은 원가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업계가 여전히 문자 1건당 30원의 높은 요금을 고수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요금인하 압박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3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SK텔레콤과 KTF, LG텔레콤 등 이통3사는 8~11원의 착신 접속료를 고정적으로 설정하고 이통사 간의 SMS 착신중계접속을 허용하지 않는 등 경쟁요소를 배제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SMS의 원가가 많게는 1건당 2~3원에서 적게는 1원 이하 수준에 불과한데도 이통3사가 원가에 비해 훨씬 높은 접속료를 설정해놓고 수십배의 차익을 거두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자 불만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통사는 개인 가입자가 문자 1건을 보내면 1건당 30원의 요금을 개인가입자에게 받고 그 중 8원을 착신접속료로 착신측 이통사에 지불하고 있다. 또 기업가입자가 문자 1건을 보내면 할인을 적용해 착신이용료 11원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SMS 이용량이 급증하고 있고 SMS를 통한 사업모델이 다양하게 만들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그런데도 이통3사가 원가 공개도 없이 접속료 8~11원을 고수하는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현재의 높은 접속료가 이통사 끼리의 담합한 결과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통사끼리 SMS 착신중계가 허용되지 않아 기업 가입자의 요금 차별성을 고려한 이통사 선택권이 배제됐다는 우려도 일고 있다.
가령 중계접속이 가능해지면 웹투폰 회사 등 기업가입자가 접속료 11원을 받는 A이통사 가입자에게 대량 SMS를 보내야 할 경우 10원의 접속료를 받는 B이통사에 해당 SMS를 보낸 뒤 B사가 다시 A사에 SMS를 보내주는 중계접속업무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웹투폰 회사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문자요금이 내려가고 이통사 간의 접속료 인하 경쟁도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통사는 착신중계를 서로 허용하지 않고 있다. 최근 기업이용자들은 이와 관련, SMS 접속료가 이통3사의 합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접속료 담합 가능성이 있을 수 있고, 이통사들이 직접 중계만을 허용하는 등 시장경쟁을 억제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VoIP(인터넷전화)의 경우 영세사업자들을 배려해 대형 통신사가 중계접속을 허용하기도 하지만 원칙은 직접 접속이 맞다"며 "중계접속 허용결정은 전적으로 사업자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SMS는 음성전화를 주고 받는 데 필요한 투자설비에 얹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전체 원가가 문자 1건당 1원 이하라는 계산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김세영 기자 thedopest@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렇게 되면 웹투폰 회사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문자요금이 내려가고 이통사 간의 접속료 인하 경쟁도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통사는 착신중계를 서로 허용하지 않고 있다. 최근 기업이용자들은 이와 관련, SMS 접속료가 이통3사의 합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접속료 담합 가능성이 있을 수 있고, 이통사들이 직접 중계만을 허용하는 등 시장경쟁을 억제하고 있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VoIP(인터넷전화)의 경우 영세사업자들을 배려해 대형 통신사가 중계접속을 허용하기도 하지만 원칙은 직접 접속이 맞다"며 "중계접속 허용결정은 전적으로 사업자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SMS는 음성전화를 주고 받는 데 필요한 투자설비에 얹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전체 원가가 문자 1건당 1원 이하라는 계산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김세영 기자 thedopest@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