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영업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한국전력의 김쌍수 사장이 전기요금 인상과 6개로 분리된 발전 자회사의 재통합을 언급하고 나섰다.
김 사장은 20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원자재 가격 및 환율 상승으로 적자 폭이 커져 올해 17.7%의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며 “정부에 9%의 전기요금 인상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환율 1100원, 유가 40달러 이하가 되어야 적정 수준인데, 올해 안으로는 어렵다고 본다”며 “요금을 9% 올리고 한전이 4% 정도는 자구 노력으로 해결하면 손익분기점은 넘어설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심야전력으로 인해 연간 5천억~6천억원 적자가 발생한다”며 “상반기에 심야전력 요금을 7.5% 인상키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조659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바 있는 한전은 올해 1~2월 사이에도 1조2천억원의 영업손실을 낸 바 있다. 지난해 크게 오른 기름값과 유연탄값을 전기요금에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 사장은 또 “민영화를 전제로 자회사들을 분리했는데 민영화를 하지 않는다고 하면 다시 통합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노식 친박연대 의원이 “원자재 구매와 전력 생산은 발전 자회사들이 담당하고 한전은 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 때문에 전기요금 문제 등이 계속 발생하는 것 아니냐”고 따지자 김 사장은 이렇게 답했다.
한전은 2001년 민영화를 전제로 한 전력산업 구조 개편 계획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 등 6개 발전 자회사를 분리한 바 있다. 그러나 민영화 추진이 중단된 뒤로 추가적인 구조 개편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한전에서는 발전 자회사 분할로 원자재 구매에서 경쟁력을 잃은 것도 영업손실의 이유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구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원자재 공동구매 등은 추진할 수도 있겠으나, 발전 자회사 재통합 등 한전을 예전처럼 되돌리는 구조 개편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