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금융·보증기관 ‘지역상생 보증펀드’ 협약
경기도와 인천시에 있는 쌍용자동차, 지엠(GM)대우자동차 협력업체들에 지방자치단체와 금융기관, 보증기관 등이 함께 2400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지식경제부와 금융위원회는 23일 쌍용차 및 지엠대우 협력업체를 지원하는 ‘지역상생 보증펀드’ 협약식을 열었다. 경기도와 인천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각각 50억원, 농협과 기업·신한은행 등이 100억원을 출연하고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이 출연금액의 최대 12배까지 보증을 해, 협력업체들이 시중은행들로부터 장기·저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지경부는 “부품업체 유동성 악화 및 연쇄부도 위기로 침체됐던 지역 경제에 활력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부는 올들어 대기업들이 은행과 함께 협력업체의 유동성을 지원해주는 상생보증 프로그램을 두 차례 운영한 바 있다. 그러나 쌍용차와 지엠대우는 협력업체를 지원할 여력이 없어, 지자체가 지역경제를 살리는 차원에서 완성차업체를 대신해 나선 것이다.
지경부는 이번 쌍용차·지엠대우 협력업체에 대한 유동성 지원으로, 중소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일단 심각한 자금난에서는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초 이뤄진 상생보증 프로그램으로 현대·기아자동차는 2640억원, 르노삼성은 495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협력업체에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쌍용차와 지엠대우의 경우 가동률이 평소의 절반 가까이 떨어진 상태여서 유동성 지원만으로 협력업체들이 어느 정도 안정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김창규 지경부 수송시스템산업과장은 “지자체가 협력업체 유동성 지원에 나서는 방식을 다른 지역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은행은 미국 지엠의 회생계획에 지엠대우차에 대한 지원 방안 등이 반영돼야 추가 유동성 공급을 고려할 수 있다고 이날 밝혔다. 산은은 또 지엠대우의 경영진도 자체 경쟁력 제고 대책을 마련해 지엠 본사와 협의, 시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원형 김수헌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