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일본 황금연휴 왔다” 명동은 벌써 ‘엔물결’

등록 2009-04-27 20:43수정 2009-04-28 00:10

27일 오후 서울 명동의 한 화장품 가게 직원이 일본어로 된 안내 간판을 들고 일본 고객을 맞이하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27일 오후 서울 명동의 한 화장품 가게 직원이 일본어로 된 안내 간판을 들고 일본 고객을 맞이하고 있다.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일 관광객 넘실대는 거리 나가보니




백화점선 김 세트 사은품으로
호텔 룸서비스로 ‘막걸리’ 등장
구둣방들은 ‘엔화 환전’ 내걸어

27일 오후 1시 서울 소공동 롯데백화점 본점 앞. 일본 오사카에서 온 회사원 마쓰야마 히로미(24)와 오베 아카네(24)는 백화점 쇼핑을 막 끝낸 참이었다. 이들은 히로히토 일왕의 생일인 29일 ‘쇼와의 날’부터 시작돼 5월5일 어린이날까지 공휴일이 5개나 이어지는 ‘골든 위크’를 앞두고 쇼핑 관광을 왔다. 일본은 주말과 공휴일이 겹치면 대체 휴무를 써서, 골든 위크 때 짧게는 7일, 길게는 열흘 가까이 휴가를 즐긴다. 마쓰야마는 “골든 위크가 시작되면 비행기표를 구하기도 어려운데다 찍어놓은 명품 가방이 다 팔릴까봐 아예 일찍 왔다”며 “20만엔(약 278만원)짜리 가방을 7만엔(97만원)이나 싸게 샀다”고 즐거워했다.

일본의 골든 위크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명동 상권이 ‘엔의 물결’로 술렁대고 있다. 3월 중순 이후 엔화 강세가 다소 수그러들었지만, 이번 골든 위크를 ‘엔 특수’의 절정으로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 백화점·호텔의 ‘¥’ 특수 명동 입구에 자리한 롯데백화점 본점은 엔 쇼핑이 시작되는 곳이다. 지난 주말, 한발 앞서 서울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 100여명은 백화점 셔터가 올라가기 전부터 정문 앞에 줄을 지었다. 통역안내 사원으로 일하는 이정임(23)씨는 “2~3월엔 손님들이 ‘일본인 반, 한국인 반’이었으니, 골든 위크에도 만만찮게 바쁠 것 같다”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 공재훈 홍보담당자는 “일본인 관광객들은 대개 오전 10시30분 백화점에 입장해 명품 쇼핑을 한 뒤 값비싼 물건은 호텔에 가져다 놓고 다음 쇼핑을 시작한다”며 “낮 12시~1시 이후엔 명동에서 점심식사와 발마사지, 길거리 쇼핑 등을 즐기고 오후 5시쯤 백화점 식품관에 돌아와 김치·젓갈 등을 사간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은 백화점 매출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명품관인 롯데 에비뉴엘은 일본인 관광객 매출 비중이 평균 잡아 3~5%였지만, 엔 강세 특수가 달아오른 올해 1월에는 33%, 2월과 3월엔 각각 32%, 28%에 이르렀다. 연간 1조3600억원에 이르는 본점 매출의 10%는 일본인 쇼핑객에게 달린 셈이다.

서울 시내 백화점과 호텔들은 ‘엔맞이’에 부산하다. 롯데 식품관은 아예 골든 위크 특집전을 마련해 일본어가 유창한 판매사원을 배치하고 김치·젓갈 등을 10~30% 싸게 판다. 일본인용 쇼핑 사은품으론, 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고급 김 세트를 맞춤해뒀다. 특급 호텔에선 난데없는 탁주 서비스가 등장했다. 일본에서 막걸리 열풍이 분 탓인데, 롯데호텔 한식당은 막걸리 3종을 맛보고 고르도록 해주고, 리츠칼튼은 동동주 룸서비스를 제공한다.

엔화 환율 변동과 일본인 쇼핑객 세금환급액 추이
엔화 환율 변동과 일본인 쇼핑객 세금환급액 추이

■ 길거리 쇼핑도 ‘¥’넘실 엔 강세 특수가 이어지면서 서울 명동 길거리 상권엔 낯선 풍경이 나타났다. 토스트 가게는 물론 구둣방까지 환전 간판을 내걸고 엔화 쇼핑객에게 손짓한다. 노점 등에서 쇼핑을 하다가 현금이 부족해진 일본인 쇼핑객들을 붙잡는 틈새 환전 시장이다. ‘今日(금일) 1370¥’이라고 크게 쓴 흰 칠판을 내건 구둣방 주인은 “워낙 일본인들이 많이 다녀서 3주 전부터 엔화 환전 영업도 시작했다”며 “외환 도매상이 사흘에 한 번씩 엔화를 받으러 오는데, 환전 영업이 잘되는 데는 도매상이 매일 드나드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을지로 대로변에서 토스트를 파는 간이노점도 최근 실시간 환율을 보여주는 작은 전광판을 설치했다. 이런 틈새 환전소들은 대개 합법 영업은 아니지만, 1만~2만엔씩 소액 환전이 급한 관광객들에게 인기다.

보육교사로 일한다는 마키하라 미키(23)와 이지마 유(23)도 이런 길거리 쇼핑이 즐겁다고 했다. 20~30대 여성들은 백화점을 벗어나 길거리 상점들을 누비며 값싼 화장품과 옷가지들을 손에 잡히는 대로 쇼핑한다. 마키하라는 “환율이 예전만 못해도 아직은 많이 싸다”며 “친구들의 부탁을 받고 미샤 같은 저가 화장품 가게에서 비비크림을 잔뜩 샀다”고 말했다.

인사동은 원래 외국인 관광객이 많은 곳이지만, 최근 일본인 관광객이 부쩍 더 늘었다. 백화점과 명동 길거리 쇼핑을 마친 일본인 관광객들이 저녁 일정으로 인사동을 찾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신세계백화점은 인사동 선물가게와의 제휴를 지난 3월 춘분절 특수 때보다 두 배가량 늘린 상태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골든 위크 기간에 한국을 찾는 일본 관광객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32.4%가 증가한 9만8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시, 한국관광공사 등과 함께 골든위크대책협의회를 출범시킨 문화부는 “엔화 강세가 본격화된 지난해 11월 이후 일본인 관광객이 급증해 올해 3월말 현재 50% 이상 급성장한 상태”라며 “엔저가 찾아와도 이런 추세를 지키도록 ‘포스트 엔고’ 관광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