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자전거 보급 현황 비교
“보급률 30%로…공공자전거 개발도”
전용도로 확충 등은 계획에 포함안돼
전용도로 확충 등은 계획에 포함안돼
정부가 ‘국산 공공자전거 개발’을 앞세워 자전거 보급 확대와 관련 산업 육성에 나선다.
지식경제부는 3일 경남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자전거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2006년 기준 16.6%인 국내 자전거보급률(전체 인구에서 자전거 보급대수 비율)을 2011년까지 3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국내 자전거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자전거 수요는 2000년대 들어 해마다 18%씩 늘고 있지만 국내 자전거 생산은 2007년 기준 2만대에 그치는 등 산업은 오히려 침체하고 있다. 저가제품 중심으로만 시장이 형성돼 비용 상승 압박을 견디다 못한 업체들이 대부분 국외로 빠져나간 탓이다. 종업원 10인 이상 규모의 업체가 단 2곳이다.
정부는 이들 국내 업체들에게 안정적인 내수 기반을 마련해줄 수 있는 ‘한국형 공공자전거’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표준화된 품질의 국산 공공자전거를 개발하고, 지방자치단체 등이 이를 사서 시민들에게 대여하는 사업을 펼치게 한다는 것으로, 오는 2011년까지 6만5천여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자전거로 출퇴근을 하면 보조금을 주는 제도도 추진된다. 또 충남 대덕에 자전거 완성품·부품 연구개발단지를 만들고 전남 순천·경북 영천·대전 등에 지역별 생산단지도 조성하기로 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녹색성장과 고용 창출을 위해 국내 자전거 산업기반을 회복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소비자·환경단체에선 정부의 자전거 살리기 계획이 공급 쪽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비판한다. 자동차 위주로 되어 있는 국내 교통체계의 근본적인 변화와, 자전거 전용도로 확충·자전거 보험제도 마련 등 수요 여건 개선 방안은 이번 정부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날 창원시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자전거축전’ 행사에 참여한 이명박 대통령도 “대도시에서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만들어져야 하고 보험제도도 만드는 등 인프라를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이 많다”고 강조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