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부메랑’ 잇단 경고음 속
하반기쯤 통화정책 변화 예상
하반기쯤 통화정책 변화 예상
금융위기를 진정시키려고 경쟁적으로‘소방수’ 노릇을 해오던 각국 중앙은행들도 깊은 고민에 빠져들고 있다. 가파르게 추락하던 경기를 살리기 위해 시장에 퍼부은 막대한 자금이 이제 또다른 부메랑이 돼 돌아오고 있는 탓이다.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기조가 이제 돈줄을 죄는 방향으로 서서히 돌아서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우선 통화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암시하는 정책 당국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총재는 지난 8일“위기가 끝나면서 급격한 인플레이션이 전세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더 이상 경기부양에만 초점을 맞춰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도 지난 3일 의회 연설에서“연방 재정적자가 계속되면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되고 경제성장도 어려워질 것”이라며 “의회나 행정부는 균형재정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알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역시 지난 2일 “중앙은행들이 유동성을 많이 풀어 세계경제 위기를 초래했는데 지금 같은 정책을 펴고 있다”며 “중앙응행들이 이성적으로 돌아서지 않으면 10년 뒤에 지금과 같은 상황에 다시 놓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물론, 이런 목소리에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당장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후유증을 우려할만큼 경기 회복의 기운이 뚜렷하다는 판단에까지는 아직 이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국제 금융시장에선, 적어도 올해 하반기에는 통화정책 방향에 변화가 올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의 미국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1월 중 금리 인상 가능성을 70% 정도로 보고 있다.
만약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방향을 튼다면 한국은행은 ‘제 갈 길 행보’를 가기는 힘들다. 이성태 한은 총재는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뒤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통화정책에 변화를 보이면 당연히 한은의 통화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며, 그간의 확장적 통화정책 기조가 바뀔 수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오는 23~24일 이틀간 열리는 미국 연준의 공개시장위원회가 어떤 신호를 주느냐에 따라, 통화정책의 방향 전환을 둘러싼 논란은 한층 더 달아오를 공산이 크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