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 사회적기업 지원 현황
SK 등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 심포지엄서 밝혀
“사회적 기업과 기업의 사회공헌 구분돼야” 비판도
“사회적 기업과 기업의 사회공헌 구분돼야” 비판도
주요 대기업들이 ‘사회적기업’을 키우는 일에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노동부와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가 24일 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사회적기업 구상’이라는 주제의 심포지엄에서, 에스케이(SK)·현대기아자동차그룹·포스코 등은 사회적 기업을 직접 설립하거나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와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공익적 목적으로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을 말한다.
에스케이는 그룹 안에 사회적기업 육성·지원을 위한 관계사 협의체를 설치하고 2011년까지 5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인터넷 누리집을 만들어 사회적기업의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등에 일반 대중의 참여를 크게 늘리기로 했다. 비영리 법인을 설립해 사회적기업을 직접 운영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에스케이는 이를 위해 주요 관계사별로 사업 아이템을 발굴·선정케 하고 종합적인 지원 시스템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남영찬 에스케이텔레콤 부사장은 “일자리 창출에 그치지 않고 혁신적인 사회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사회적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현대·기아차그룹은 이날 ‘사회적기업 종합지원계획’을 내어, 2012년까지 사회적기업을 새로 발굴하고 지원해 취약계층 일자리 1000개를 만들어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동안 직접 설립해 운영해왔던 노인·장애인 활동지원 사회적기업인 ‘안심생활’을 전국 24곳으로 늘리고, 한 해 20억원 규모의 사회적기업 육성기금을 조성할 계획이다. 또 장애인 보조기구 개발사업 등에서 사회적기업 2곳을 새로 설립해 200~400명을 더 고용하기로 했다. 여기에 계열사별로 ‘1사 1사회적기업’ 운동을 펼치는 등 관련 사업을 지속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그동안 사회적기업을 설립해 본 경험이 없는 포스코는 2010년까지 3곳의 사회적기업을 직접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항에는 철강재를 활용한 친환경 집을 만드는 시공회사, 광양에는 제철소 신설공장에 따른 외주회사, 경인지역에는 건물관리회사 등을 사회적기업으로 설립,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주요 기업들의 이러한 행보는 최근 사회적기업 관련 사업이 주요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도 대기업의 사회공헌 활동과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을 연계하는 방안이 주로 논의됐다.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은 “사회적기업은 자본주의의 미래”라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했다. 사회적기업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구별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진규 고려대 교수는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사회적기업을 육성하는 것은 본래 취지에 어긋나며, 자칫 정부의 지나친 (참여)요구는 준조세 성격으로 비칠 수 있다”며 “경영이나 회계 컨설팅 등으로 자체적인 경영능력을 키우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