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준(46)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경제학)
국내 포럼서 “달러 대안은 유로” 주장
장하준(46·사진)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경제학)는 24일 전 세계 자산시장에서 거품이 꺼질 가능성이 있고, 그렇게 되면 또 한차례 커다란 위기가 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 교수는 또 미국 경제의 ‘더블딥’(이중침체) 가능성에도 상당한 무게를 실었다.
장 교수는 이날 신한금융투자가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주최한 ‘2010 리서치포럼’에서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세계경제와 한국경제’라는 발표를 통해 “현재 주가는 상당 부분 정부의 재정지출과 통화정책 완화에 따른 거품이고, 달러 차입을 통한 ‘캐리 트레이드’가 늘어 거품을 더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이어 “돈을 풀어 숨 쉴 틈을 만들어 놓고, 그 사이에 부동산 담보대출비율 조정이나 구제금융을 받은 금융기관의 이익에 대한 과세 등 자본시장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어야 하는데, 이에 실패하고 있다”며 “거품을 그대로 두면 거품이 커졌다가 꺼지면서 또 한번 커다란 경기하강이 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상황이 발생할 경우, 특히 영국과 미국 등에서는 다시 한번 경기부양책을 쓰기가 어려워 대공황과 같은 사태를 맞거나 적어도 일본처럼 장기불황 상태에 빠질 것이라는게 장 교수의 판단이다.
장 교수는 “미국에서 더블딥 가능성은 분명히 있다”고 강조한 뒤 “실업률 상승과 그에 따른 신용카드 부도, 주택담보대출의 부실, 상업용 부동산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또 지난해 금융위기를 계기로 ‘달러 패권’은 막을 내리게 됐으며, 달러에 대한 대안은 위안화가 아닌 유로화라는 주장을 폈다.
한편, 장 교수는 “1970년대에는 경부고속도로나 댐을 건설하는 게 맞았으나 지금 우리 경제 발전 단계는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자하는 것이 성장을 결정하는 요인이 아니다”라고 못박은 뒤, “연구·개발과 사회복지 쪽에 투자를 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사진 뉴시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