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가들 우려
원자력발전은 그 효용성만큼이나 안전성 문제로 세계 어디서나 ‘뜨거운 감자’다. 우리나라의 수출 효자종목으로 떠오른 원전은 ‘한 번 사고가 터지면 방사능 누출 등 치명적인 피해를 가져다줄 수 있다’는 우려를 항상 끌어안고 있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들은 “원자력발전은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대안이 될 수 없으며, 원전 건설은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주장을 계속해왔다.
한국형 원전의 첫 수출이라는 찬사 뒤에 드리운 그림자는 이런 맥락에서다.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사상 최대 규모의 플랜트 수출이라는 화려한 카피 뒤에는 아직 끝나지 않은 안전성 등 환경 문제와 ‘실속’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정부가 ‘원자력 르네상스’란 말로 원자력을 녹색에너지로 홍보하고 있지만, 국제 사회에서는 안전성 등의 문제로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원자력발전은 풍력·태양력 등 다른 재생에너지와 달리 국제연합(UN)의 온실가스 저감 방안인 청정개발체제(CDM)에 포함되지 않는다. 프랑스·일본 등 원자력 비중이 높은 나라들이 포함을 주장하고 있지만, 얼마 전 열린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환경운동가들은 세계 원자력 건설 수요도 그리 크지 않고, 우리나라에 아직 원천기술 확보가 안 되어 있어 미래산업으로서의 실속도 의문이라고 주장한다. 이헌석 청년환경센터 대표는 “중국·중동 등 시민사회가 활발하지 않은 나라들을 중심으로 원전 신규 수요가 있긴 하나, 전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수요는 없다”며 “원천기술도 아직 갖추지 못해 산업적으로 봐도 원전 장사는 장래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기후에너지국장은 “화석연료를 임시 대체하기 위해 원전이 필요할 수 있을지 몰라도, 에너지 효율을 높이거나 신재생에너지를 개발하는 것이 더 나은 대안”이라며 “원전에 ‘올인’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