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기회복세 둔화 전망
정부는 내년에 환율 공조체계가 유지되지 못하면 주요국 간 환율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성장은 신흥국의 소비시장을 제대로 공략하는 것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기획재정부는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1년 세계경제 3대 이슈 및 시사점’ 보고서를 내놨다. 재정부는 보고서에서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가능성, 금융시장 불안, 정책수단과 국제공조의 제한을 세계경제의 3대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먼저 보고서는 “내년 세계경제는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이지만 미국의 고용부진과 주택경기 회복 지연, 재정지출 감축, 세계교역의 위축 등으로 성장세가 소폭 둔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어 “남유럽 재정위기의 확산 가능성과 글로벌 금융시장 구조변화에 따른 신흥국으로의 급격한 자금유입이 신흥국의 자산버블, 급격한 역유출 등의 위험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제공조와 관련해서는 “선진국이 통화·재정정책에서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환율정책 공조체계가 유지되지 못할 경우 환율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중국 위안화의 평가절상 폭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과 중국의 임금·물가오름세 확대 등이 국내물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위험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했다. 보고서는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미국경제 회복에 따라 우리 경제의 성장률 전망이 달라질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신흥국의 소비시장 역할에 주목해 신흥국 소비시장 진출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추진함이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