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명중 47명…“설립 이후 최대 위기”
저축은행 특혜인출과 직원 비리 등으로 거센 비난 여론에 휘말린 금융감독원이 28일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권혁세 금감원장이 “금감원 설립 이후 최대 위기”라는 진단을 내린 직후 이뤄졌다.
금감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직원 비리 혐의 등이 문제가 된 저축은행·기업공시 담당 부서장을 교체했다”며 “부실 저축은행 대처 미흡 등 외부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철저한 자기반성을 통해 신뢰회복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또 업계와의 유착을 막는다는 차원에서 55명의 국실장급 간부 가운데 47명을 자리바꿈했다. 금감원 쪽은 “한 권역에서 오래 근무하게 됨에 따른 업계와의 유착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며 “은행·보험·증권 등 권역별 주무국장 모두를 교환 배치하고 상당수 부서장은 아예 다른 권역으로 이동시켰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조만간 있을 팀장급 인사에서도 장기 근무자를 대폭 자리바꿈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최근 물의를 일으킨 부산저축은행 계열사 5곳 가운데 3곳의 감사가 금감원 퇴직자란 사실이 논란이 된데다, 도이치증권의 옵션 쇼크 사건 조사를 담당했던 금감원 국장이 도이치증권 변호를 맡은 김앤장으로 자리를 옮기려다 논란이 일자 그만둔 일까지 일어나며 안팎의 비난에 시달렸다. 금감원은 조만간 금융위원회와 함께 조직 디엔에이를 바꾸는 쇄신 과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금감원은 10개의 본부를 두고 부원장 또는 부원장보에게 책임을 맡기던 조직 구조를 3인의 부원장이 각각 3명씩의 부원장보를 산하에 두고 관할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