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사태 안온다’ 낙관론도
미국의 국가부채한도 증액이 마감 시한인 8월2일(현지시각)까지 타결되지 못할 경우 국내 금융시장에도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신용등급이 내려가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파장이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전세계 증권 가격을 매기는 기준점인 미국 국채가 안전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면서 국내외 금융기관이 너도나도 현금 확보에 나섬에 따라 신용경색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대외변수에 취약한 국내 금융시장은 외국인 자금의 이탈로 주가 급락은 물론 원화 환율과 금리의 동반 급등이 우려된다. 세계 투자은행들도 미국 신용등급 강등은 미국보다 되레 신흥국에 미치는 악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2008년과는 달리 정부 개입으로 극단적인 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은 상대적으로 대외 의존도가 낮아져 정부가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면 금융시장은 빠른 시일 내에 안정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무난하게 타결될 경우에는 당연히 국내 금융시장도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다.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신흥국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안정될 수 있다. 달러 약세가 일단락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1050원 선에서 균형점을 모색하고 국내 주가도 완만한 반등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재정지출 감소로 미국의 성장률이 떨어지면 국내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박소연 한국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10년간 삭감하게 될 4조달러는 미국 국내총생산의 2.7%에 해당하는 규모로, 경기 둔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국내 금융시장은 미국계 외국인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부채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 6월 미국계 자금은 국내 증시에서 19개월 만에 순유출로 전환됐다.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식 시가총액에서 미국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40%에 달한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