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연구개발 부문의 50%에서 70%까지 높이기로
삼성그룹이 전체 연구·개발(R&D) 부문 인력에서 소프트웨어 부문의 비중을 70%까지 높이기로 했다. 세계 정보기술(IT) 업계가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재편되는 데 따른 경쟁력 강화 방안이다.
이인용 커뮤니케이션팀장(부사장)은 12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열린 수요 사장단회의 브리핑에서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 인력이 현재 2만5000명으로 전체 개발인력의 50% 수준이지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라며 “앞으로 70%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날 사장단회의에서는 김진형 카이스트 전산학과 교수를 초청해 ‘왜 소프트웨어인가’ 주제의 강연을 들었으며, 특히 소프트웨어 인력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한국에서 소프트웨어 산업에 대한 활용과 투자가 저조하고 무단 배포가 이뤄지는 등 사용권 인식이 부족하며, 글로벌 관행에 맞지 않는 인터넷 규제들 때문에 소프트웨어 산업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고 이 팀장은 전했다. 김 교수는 또한 “삼성전자와 같이 소프트웨어 인력을 필요로 하는 대기업들은 국내에 마땅한 인재가 없어 해외에서 채용을 하고 있는 반면 소프트웨어를 전공한 학생들은 ‘대기업에 가면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한다’는 인식 때문에 오히려 벤처 회사 등으로 가버린다”고 인력수급 불균형 문제를 꼬집었다.
삼성은 현재 진행 중인 하반기 공채부터 소프트웨어 직군 채용을 별도로 진행하고 있다. 앞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수차례 소프트웨어 기술 및 인재 확보와 경쟁력 제고를 주문한 바 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