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집계, 2000만명 돌파
미국 등 견줘 대중화 속도 빨라
미국 등 견줘 대중화 속도 빨라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000만명을 돌파했다. 국민 10명 중 4명꼴로 스마트폰을 쓰는 셈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잠정집계 결과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지난 28일을 기준으로 2000만명을 넘어섰다고 30일 밝혔다. 사업자별로는 에스케이(SK)텔레콤 1000만명, 케이티(KT) 680만명, 엘지유플러스(LGU+) 330만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본격적인 스마트폰 시대가 열린 건 애플의 아이폰이 도입된 2009년 말이다. 스마트폰 가입자 비율은 그해 12월 1.7%에서 2010년 12월 14.2%로 8.4배 늘어났고, 다시 올해 말에는 42%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경제활동인구(2500만명)를 기준으로 보면, 스마트폰 사용자가 무려 80%에 이른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대중화 속도는 우리보다 앞서 스마트폰이 도입된 미국과 유럽에 견줘서도 특히 빠른 편이다. 미국의 스마트폰 가입자 비중은 2009년 12월 21%에서 올해 말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스케이텔레콤은 “스마트폰 대중화가 급속도로 이뤄지면서 연내 자사 스마트폰 가입자 1000만명 돌파를 목표했었는데 예상보다 두달이나 앞당겨 달성할 수 있었다”며 “연령별 비율도 10대 19%, 20대 30%, 30대 25%, 40대 21%, 50대 15%로 고르게 나타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스마트폰은 ‘종합 문화 서비스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다. 방통위는 “스마트폰이 사회·문화·경제 등 삶에 전체적인 변화를 주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드(격차)’ 현상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