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긍정적…재정 건전성·경제 회복력 높이 평가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상향조정한다고 7일 밝혔다. 피치는 2005년 10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올린 뒤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피치는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올린 이유로 재정건정성, 대외건전성, 한국 경제의 빠른 회복력 등을 들었다. 이 가운데 재정건전성을 상향조정의 중요 사유로 꼽고, 한국이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해나갈 경우 신용등급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건전성에 대해서는 충분한 수준의 외환보유액, 은행 등의 단기외채 비중 축소, 일본·중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을 통한 유동성 확충 등으로 대외부문의 위기대응능력이 크게 개선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경제 회복력은 높은 대외의존도로 글로벌 경제 여견 변화에 취약한 점이 있지만, 수출기업의 높은 경쟁력과 탄력적인 환율제도가 취약성을 크게 완화했다고 밝혔다.
한국 경제의 위험요인으로는 가계부채 문제, 높은 대외의존도, 내년도 외채 만기도래액이 크다는 점을 들었다. 다만, 이런 위험요인들을 잘 대처하면 신용등급상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덧붙였다.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의 신용등급(전망)이 하향조정되는 추세에서 우리 등급전망이 상향된 것은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며 “‘긍정적’ 등급전망이 통상 1년 뒤 신용등급 상향조정으로 이어지는 점에서 앞으로 ‘AA’ 등급 진입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유럽 재정위기가 터진 지난 8월 이후 피치가 등급전망을 올린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피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8년 11월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췄다가 2009년 9월 ‘안정적’으로 조정한 바 있다.
김경욱 기자 da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