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서 ‘이사책임 축소’ 제동
포스코 등 정관개정안 철회
포스코 등 정관개정안 철회
국내 증시의 최대 큰손인 국민연금이 올해 주주총회에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고 일부 기관투자가들이 여기에 가세하면서 대주주들의 일방통행에 제동이 걸리는 사례들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지난 16일 포스코 주총에서는 회사에 손해를 끼친 이사의 배상 한도를 제한하거나 배당결정 권한을 이사회에 넘기는 내용의 회사 쪽 정관개정안에 대해 소액주주들이 이의를 제기하자, 해당 안건을 삭제한 수정안을 내어 승인을 받았다. 국민연금과 일부 외국인 투자자들이 사전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전달한 영향이 컸다. 앞서 대림산업과 풍산홀딩스, 풍산도 국민연금의 반대로 같은 내용의 정관개정안을 철회했다.
일동제약 주주들은 표대결로 정관개정안을 부결시켰다. 소액주주들의 위임장을 모았고 미국계 자산운용사 피델리티가 힘을 실어준 덕분이었다.
남양유업 주총에서는 라자드 펀드가 제안한 고배당안과 집중투표제 도입을 놓고 대주주와 기관들 사이에 치열한 신경전이 펼쳐졌다. 한국투자밸류(4.5%)가 배당 안건에서 라자드펀드의 손을 들어주며 포문을 열자 케이비(KB)자산운용(2.4%)은 라자드의 배당안과 집중투표제 모두에 찬성한다고 수위를 높였다. 결국 부결되기는 했지만 기관투자가들의 연대 가능성을 보여줬다.
특정 사외이사 후보에 대한 반대표가 결집되는 현상도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현대모비스 김 아무개 사외이사의 재선임안에 대해 외국계인 알리안츠와 국내 중소형운용사인 트러스톤 등 모두 5개 기관이 반대했다. 이 후보는 지난 회기 이사회 출석률이 6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변화의 흐름이 아직은 제한적이다. 기관투자가들이 회사 쪽에 찬성표를 던지는 관행이 여전해 대세를 이루고 있다. 현대자동차, 대한항공, 효성, 만도 등 재벌 기업들의 주총에서는 이사의 책임을 줄여주는 안건이 기관들의 무관심과 눈치보기로 원안대로 통과됐다. 현대차의 경우 의결권을 공시한 58개 기관 중 반대는 한 곳도 없었다. 56개 기관이 찬성표를 던졌고 2개 기관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이유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았다. 대한항공 주총에서는 18개 기관 모두 찬성했다.
장하성 고려대 교수의 주도로 기업지배구조개선 활동을 펼쳐온 라자드펀드와, 국민연금의 위탁에 따라 기업지배구조펀드를 운용하는 알리안츠를 제외하면 적극적인‘주주 행동’에 나서는 국내 기관은 찾아보기 어렵다. 지난해 집합투자업자(펀드 운용사)들이 유가증권 상장사의 안건에 반대를 한 비율은 0.17%에 그쳤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아빠의 30대 여친에게 20대 딸이 보내는 편지
■ “전 법무비서관도 최종석 증거인멸 지시 진술말라고 해”
■ 도요토미 히데요시 “나는 태양의 아들…조선의 국왕이여 알현하라”
■ 세종시 민주당 주자 이해찬? 한명숙?
■ 정치인들, ‘머리 나쁜’ 새 만큼만 따라 해라
■ 아빠의 30대 여친에게 20대 딸이 보내는 편지
■ “전 법무비서관도 최종석 증거인멸 지시 진술말라고 해”
■ 도요토미 히데요시 “나는 태양의 아들…조선의 국왕이여 알현하라”
■ 세종시 민주당 주자 이해찬? 한명숙?
■ 정치인들, ‘머리 나쁜’ 새 만큼만 따라 해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