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으로 풀어본 카드 대응 요령
카드사들이 무료로 제공하기로 한 ‘결제 승인 알림메시지’를 받으려면 따로 신청을 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언론에 공개한 콜센터 대표번호도 유료다. 통화대기 중에도 시외전화 요금에 준하는 통화료가 빠져나가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여전히 카드사 콜센터와 누리집은 이용자 폭증으로 연결이 어려운 상태다. 답답한 고객들이 알아야 할 ‘팁’을 정리해 봤다.
-카드사들이 결제 내용을 문자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무료로 해준다는데, 카드를 써도 문자가 오지 않아 걱정이다.
“카드사들은 기존에 유료(월 300원 내외)로 제공하던 결제 알림 서비스를 무료로 전환하기로 했으나, 자동 전환되는 것은 기존 유료 사용자에 한해서다. 이 서비스를 쓰지 않고 있었다면 신청해야 한다. 콜센터 등에서 신청할 수 있다.”
-이동통신사 무제한 요금제를 쓰고 있었는데, 카드사 콜센터에 몇번 전화했더니 ‘무료사용요금을 다 썼다’는 메시지를 받아 당황스럽다.
“1588, 1544 같은 전국대표번호는 소비자들이 흔히 수신자부담(무료) 전화로 착각하고 있지만, 거는 사람이 요금을 문다. 전화를 건 뒤 음악이 나오고 상담원 대기하고 하는 시간에도 통화료가 부과된다. 요금 체계도 일반전화보다 더 비싸다. 휴대전화 무제한 요금제 이용자라도 전국대표번호 같은 특수국번 전화는 예외여서 따로 요금을 내야 한다. 유선전화로 걸었는데, 콜센터가 시외구역에 있으면 시외통화료가 발생한다. 수신자부담, 즉 이용자 쪽에서 볼 때 무료전화는 080국번이다. 정보 유출 피해를 접수중인 케이비(KB)국민카드(1899-2900), 롯데카드(1588-8100), 엔에이치(NH)농협카드(1644-4000) 모두 전국대표번호만 운용할 뿐 080 콜센터는 없다.”
-카드사들이 20일부터 피해자에게 정보 유출 여부를 개별 통보해 준다는데, 아직 받지 못했다.
“카드사들은 애초 예정했던 20일보다 하루 지난 21일 밤부터 이메일로 통보를 시작했다.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지 않은 고객에겐 우편 고지를 하기로 하고, 인쇄에 들어갔다. 우편으로 통보를 받는 경우라면 제작·배송에 시일이 걸린다. 이메일이나 우편에는 유출 사실만 적혀 있고, 어떤 정보가 유출됐는지 구체적인 사항은 적혀 있지 않다.”
-정보가 유출됐다는 메일을 받았는데, 꼭 카드 재발급을 받아야 하나?
“금융당국과 카드사는 카드 비밀번호와 시브이시(CVC·카드 뒷면에 새겨진 숫자들 가운데 마지막 세자리)는 유출되지 않은 만큼, 부정 사용이나 위·변조 가능성은 낮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카드번호와 유효기간까지 유출된 엔에이치농협·롯데카드의 경우엔 재발급을 받는 게 안전하다. 또 비밀번호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휴대전화번호, 주소 등을 조합한 번호로 만들었다면 바꾸는 게 좋다.
-카드에 전화요금 자동납부 등이 연결돼 있는데, 재발급받으면 어떻게 되나?
“카드 재발급을 받으면 통신사나 보험사 등 자동납부가 연결됐던 곳에 변경 사실을 알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체될 수 있다.”
-정보 유출을 확인하라며 사이트 주소(링크)가 적힌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휴대전화 문자에 링크를 누르면 악성코드를 감염시켜 정보를 빼내는 ‘스미싱’ 사기일 가능성이 높다. 절대 눌러선 안 된다. 카드사들은 문자메시지를 보내지 않고, 이메일과 우편으로만 유출 사실을 통보하고 있다. 문자메시지는 스미싱 사기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금융기관이나 공공기관은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도 링크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정보가 유출됐으니 확인하라며 링크가 담긴 이메일이 왔다.
“카드사들이 보내는 이메일에는 링크가 없다. 휴대전화가 아닌 컴퓨터로 링크를 확인하더라도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다. 컴퓨터를 먼저 공격한 뒤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연결할 때 휴대전화에 악성코드를 설치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다. 의심스러운 링크는 눌러선 안 되며,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우편으로 카드번호, 결제계좌 비밀번호, 보안코드 번호 등을 요구하면 의심해봐야 한다.”
-명의도용차단 서비스를 신청하라는데 뭔가?
“마이크레딧(월 2000원), 크레딧뱅크(월 1650원), 사이렌24(월 1980원) 등의 명의도용 차단 서비스를 신청하면, 내 이름으로 누가 새 카드를 발급받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가 1년간 무료로 이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으나, 신규 사용자가 몰리면서 다음달 중순쯤 돼야 실질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한다.
한편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주민번호클린센터’(clean.kisa.or.kr)에서 자신의 주민번호가 명의도용된 것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정보 유출 사고 이후 이용자가 폭주해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