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보다 1000억여원 늘어나
30대 그룹이 ’동반성장’을 위해 올해 중소기업 협력사에 모두 1조7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동반성장위원회는 7일 서울 여의도 콘퍼런스센터에서 윤상직 산업통상부 장관, 허창수 전경련 회장, 유장희 동반위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제계의 2014년 동반성장 실천계획과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대기업 동반성장 계획을 보면, 올해 30대 그룹은 연구개발(R&D), 경영혁신, 해외 판로개척 등 협력사의 역량을 강화해주기 위해 지난해 1조5942억원보다 7.6% 많은 1조7161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4년 전인 2010년의 1.9배로 늘어난 액수다.
지원 분야별로는 협력사의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판매·구매 지원에 5592억원, 생산성 향상에 4527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기술력 제고를 위한 아르앤디(R&D) 분야에도 2855억원을 지원한다. 이밖에 해외 판로개척 지원액을 지난해보다 16.5% 늘리고, 보증·대출과 인력 양성지원액도 각각 11.5%, 10.5% 늘리기로 했다.
전경련은 경제계의 동반성장 4대 추진전략으로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협력사 육성, 협력사의 성장동력 확보, 2·3차 협력사 경영혁신 지원을 제시했다. 30대 그룹 최고경영자(CEO)들은 이날 발표회에서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창조경제 실현, 2·3차 협력사 성장 지원에 역점을 두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국민소득 4만 달러 시대를 열려면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 절실한데 이를 위해서는 대·중소기업이 함께 창의성과 도전성을 발휘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해외시장을 넓혀가는 생산적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동반성장 패러다임을 한 단계 발전시켜 혁신을 경제 전반에 내재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협력사가 신기술 투자와 생산성 혁신을 강화하는 한편 수출에 주력하도록 정부와 대기업이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 [사설] 노동자 안전 뒷전 중대재해법 후퇴가 민생 대책인가](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300/180/imgdb/child/2024/0116/53_17053980971276_2024011650343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①국내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800/32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768.jpg)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 [올해의 책] 숙제를 풀 실마리를 찾아, 다시 책으로 ②번역서](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500/300/imgdb/original/2023/1228/20231228503807.jpg)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212/127/imgdb/original/2025/0211/2025021150104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