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건비 상승…임금 격차 벌려
노동집약 산업, 북한 인력 선호추세
노동집약 산업, 북한 인력 선호추세
북한의 대중국 수출이 석탄·철광석 등 자원에 편중돼 있던 데서 벗어나면서 올 연말에는 섬유제품 수출이 2010년 대비 4배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국의 인건비 상승으로 북한 임금 수준과 격차가 벌어지자 중국 기업들이 앞다퉈 섬유제품 위탁가공무역에 나서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무역협회는 23일 북한의 대중국 섬유제품 수출이 올해 40%를 웃도는 증가세로 올 연말께 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 2010년 1억9000만달러의 네 배에 이르는 실적이라고 밝혔다. 이에 힘입어 대중국 무역적자 폭은 지난해 7억2000만달러에서 올해는 6억달러 아래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010년 11억9000만달러이던 북한의 대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29억1000만달러로 연평균 34.7%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0~2011년에만 해도 북한의 섬유제품 수출 비중은 16~17.1%에 그쳤고 자원 수출 비중은 66.2~71.4%로 높았다. 하지만 올 7월 말 현재 섬유 비중은 26.3%로 껑충 뛰었고, 자원은 60.7%로 줄어들었다. 이는 중국 섬유업체들이 인건비 상승 압력에 부닥치자 북한 인력에 눈을 돌린 탓이다.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인 지린성 훈춘시 노동자 임금은 월 2700위안(약 46만원)인데 북한 노동자는 1500위안(약 25만원)으로 40%가량 낮다.
실제 지린성내 4개 기업은 지난해 1억4000만달러 상당 의류 1500만벌 규모를 북한에 위탁 가공해 생산했다. 또 이달 들어서 랴오닝성 단동내 5개 기업이 1억달러 상당 의류 1000만벌을 마찬가지로 위탁 생산하기 시작했다. 일부 중국 기업은 북한 나진·선봉 지역에 직접 진출해 임가공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협 최용민 베이징지부장은 “북한은 석유와 소비재 수입을 위해 자원 수출에 집중하는 경향이 짙었지만 중국과 북한의 임금 격차 심화를 배경으로 노동집약 산업에서 대중 수출 기조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