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원외교 국정조사와 관련해 투자회수율 통계 부풀리기를 직접 지시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던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08년 이명박 정부 초기에 펴낸 자신의 저서에선 자원개발의 경제성을 부풀리는 것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드러냈던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순옥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윤 장관이 2008년 5월 펴낸 ‘국제석유개발의 이해’라는 책에서는 지식경제부 자원개발전략 국장으로서 실무 경험을 강조하며 국외 자원개발의 위험에 대해 상세히 지적하고, 자원개발 기업들이 회수율을 부풀리는 관행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서술했으면서도, 현실에서는 자기 책 내용과 정반대 행보를 이어갔다”고 주장했다.
전 의원이 공개한 책 내용을 보면 윤 장관은 ‘생각해 봅시다’라는 꼭지에서 “우리 기업들이 해외에서 탐사광구를 확보하면, 보도자료 등에서 통상 ○○억 배럴의 (추정) 매장량을 가진 광구라고 소개한다. 그러나 매장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개발·생산 단계의 유전에만 쓸 수 있고, 탐사단계에선 탐사자원량이라는 용어를 쓰는 게 맞다. 탐사자원량이란…석유가 있다면 회수 가능한 양에 불과하다. 탐사광구의 경우 상업적 발견에 성공할 확률은 평균적으로 20%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아직 자원개발 기업들이 생산·개발에 성공하지 않은 탐사광구에 대한 미래 투자회수 가치를 부풀리는 관행을 꼬집은 것이다.
하지만 최근 산업부는 자원외교 국정조사가 추진되는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 자원외교 회수율과 관련해 이미 회수한 금액에다 미래에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금액까지 보태 회수율을 부풀려 이중의 자료를 생산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윤 장관이 이같은 통계작성이 이뤄지도록 직접 개입한 정황이 한 사무관의 전자우편으로 드러나면서 야당이 자료왜곡 우려를 들어 장관 사퇴요구까지 제기하기도 했다.
전 의원은 “윤 장관은 자신의 책에서 ‘석유개발 사업은 의욕과 돈만 가지고 되는 게 아니다’ ‘1공 시추에 수억달러가 소요되는데 개발이 실패하면 기업이 파산할 수도 있고 인수합병이 잘못되면 국가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썼으면서도,도박에 가까운 엠비 자원외교에 적극 협조해 국가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