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 가서명…상품 양허 내역 살펴보니
노동 빠지고 환경분야 미흡
식품안전·미세먼지 대응 못해 국문협정문 공개 시점 불투명
국민 알권리 충족 못시켜 ■ 농산물 분야 특별세이프가드 제한 등 우려 각종 무역 규범 문제와 농산물 관련 분야는 우려되는 점도 적지 않다. 우선 22개 챕터에 노동 분야가 아예 제외되고 환경이나 위생·검역 관련한 챕터에서 미세먼지나 식품안전과 관련해 실효성 있는 내용을 담지 못한 부분이 큰 한계로 지적된다. 송기호 변호사는 “최근 최악의 미세먼지 경보에서 경험했듯 한국과 중국 두 나라 사이에 주요한 환경 이슈가 놓여 있는데, 환경 조항들은 미세먼지 등 중국발 환경 재앙의 심각성에 실효성 있게 대응할 수 없고, 중국발 식품불안이 큰데 식품검역 조항에서도 진전된 조항을 얻은 게 없다”고 짚었다. 특히 우리는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상 쌀을 포함한 농산물 162개 품목에 대해 특별세이프가드 발동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데, 중국의 요구로 이번 한-중 협정에서 44개 농산물 품목에 대해 이 권한을 포기했다. 게다가 한-중 협정은 주요 농산물 다수를 개방예외 품목으로 했다는 이유로 다른 자유무역협정에선 도입한 ‘농산물 세이프가드’(ASG·농산물 긴급관세) 조항도 아예 넣지 않았다. ■ 협정 국문본 초안 공개 빨리 이뤄져야 한-중 협정의 가서명과 함께 영문 협정문이 공개됐지만 국민들의 알권리에는 한계가 크다는 지적이 많다. 영문 협정문은 통상 영어에 정통한 전문가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렵고, 정부의 일방적인 홍보성 정보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정부는 영문 협정문 공개와 함께 업종별 협상 결과 설명자료를 배포하며 생활용품 부분에서 “중국 쪽은 콘택트렌즈, 주방용 유리제품 등 향후 중국 내 수요 증대 품목을 포함한 생활용품 시장 대부분을 개방한바, 우리보다 10배 이상 큰 중국 내수시장 진출 기회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콘택트렌즈와 주방용 유리제품의 관세 철폐 시점은 각각 20년과 10년 내로 개방을 체감하기 힘들다. 그럼에도 정부는 국문본 초안 공개 시점에 대해 “번역 일거리가 밀려 있다”며 입을 다물고 있다. 이해영 한신대 교수는 “현재 가서명과 함께 정부가 배포한 자료는 지난해 11월 실질적 타결 이후 배포한 자료에서 크게 나아간 정보를 얻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