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살 90%·57살 80%, 다음부터 70%
임금체계 직무·성과 중심으로 개편
임금체계 직무·성과 중심으로 개편
정년이 만 60살 이상으로 연장되는 법 시행을 앞두고, 포스코그룹이 현재 시행 중인 임금피크제를 손질하기로 했다.
포스코는 26일 “내년부터 만 58살이던 정년을 만 60살로 연장한다”며“노사 합의를 통해 만 56살이 되면 기존 임금의 90%, 그 다음 해에는 80%를 지급하고 만 57살부터 정년까지 임금의 70%를 주는 방식으로 임금피크제를 개선했다”고 밝혔다. 2011년에 도입된 임금피크제의 경우, 만 52살부터 만 56살까지 임금 인상이 동결되고, 만 56살부터는 해마다 임금이 10%씩 줄어들었다. 다만, 정년 이후 만 60살까지 계약직 근무가 가능했다.
포스코 노사는 연차가 늘어날수록 높아지는 임금 체계를 2017년부터 직무·성과 중심 제도로 개편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외부 전문가와 노사 합동 연구반을 꾸려 새 임금 체계의 세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보상 체계를 마련해 고용을 안정시키고 업무 몰입도를 높여가겠다고 회사쪽은 설명했다.
한편, 포스코는 올해부터 향후 5년 동안 협력사와 함께 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으로 추진 중인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다. 일·학습병행제란, 학교를 졸업한 청년들을 기업이 우선 채용한 뒤 일터에서 교육을 병행하는 프로그램이다. 포스코는 “협력사 인원 100명을 포함해 해마다 300명씩 총 1500명을 뽑아 6개월~1년 가량 교육을 진행한다”며 “평가 기준에 현격히 미달되지 않는 한 정식 직원으로 채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올해 임금을 동결하는 대신, 130억원어치의 전통시장 상품권을 구입해 포스코와 협력사 직원들에게 나눠준다고 덧붙였다.
박현정 기자 sara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