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빚 50조원 중 절반
부실화 땐 세금 투입 우려
부실화 땐 세금 투입 우려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5대 조선사에 대한 은행의 대출 등 신용공여액이 50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을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이 제공한 탓에 조선업황 부진에 따른 국책은행 부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6일 정우택 국회 정무위원장(새누리당)에게 제출한 ‘조선업체 은행별 여신 현황 자료’를 보면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5대 조선사가 16개 국내은행과 18개 외국계은행으로부터 받은 신용은 지난 7월 말 현재 총 50조92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은행이 45조9743억원이고, 외국계은행이 4조349억원이다. 신용공여액은 대출채권, 유가증권(공모회사채·기업어음) 및 지급보증의 합계로 은행연합회 자료를 분석한 수치다.
국내은행 중에는 수출입은행이 19조7691억원으로 가장 많고, 산업은행이 5조8407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두 국책은행이 부실화된 조선업계를 사실상 지탱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수출입은행이 선주가 선박을 주문할 때 미리 주는 돈에 대해 금융기관이 보증하는 선수금환급보증(RG)의 대부분을 떠맡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은행의 신용공여는 주로 대출이다. 조선업체별로는 현대중공업이 16조4010억원으로 가장 많다.
정우택 위원장은 “조선업의 수익성이 계속 떨어지면 국책은행의 건전성이 훼손돼 결국 국민세금으로 국책은행 자본을 확충할 수밖에 없다”며 “수익성 악화가 조선업 전반에 걸친 현상임을 감안해, 국가적 차원의 선제적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