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이후 처음으로 연간 100만t 아래로 떨어져
어린 물고기 남획·중국 어선 불법조업 등으로 바닷속 저출산
어린 물고기 남획·중국 어선 불법조업 등으로 바닷속 저출산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4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6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발행한 동향분석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2만3000t으로 1972년(73만6276t) 이후 처음으로 연간 100만t 아래로 떨어졌다. 이는 지난해에 견줘 12.7% 감소한 수치이며 최고 생산량 173만t을 기록한 1986년과 비교하면 반 토막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1척당 생산량 또한 근해어업이 1972년 370.3t에서 2016년에는 251.6t으로, 연안어업이 10.1t에서 6.2t으로 크게 떨어졌다. 수십 년간 기술이 발전해 어선은 더 빠르고 커졌지만 수산자원 양이 1972년의 60% 수준으로 터무니없이 줄어든 탓이다.
보고서는 수산자원이 줄어든 이유로 과도한 어획과 중국 어선 불법 조업, 온난화에 따른 어장 변화를 꼽았다. 장기간에 걸쳐 수산자원을 남획하고, 특히 어린 물고기까지 마구 잡아 재생산을 위한 산란 기회를 줄임으로써 ‘바닷속 저출산’의 악순환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어선 불법 조업으로 인한 타격은 더욱 심각한 수준이다. 보고서는 이로 인한 수산자원 손실을 10만t에서 최대 65만t까지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는 중국대사관에서 전달한 항의문에서 중국 어선 불법 조업이 한국 수산업에 미치는 피해 규모가 연간 1조3000억원에 달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온난화로 수온이 높아져 어종이 바뀌는 양상도 수산자원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어, 갈치, 오징어, 꽃게 등 싸게 먹을 수 있던 어종들의 귀해지며 그 피해는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다. 통계청 발표를 보면, 지난해 신선어개(생선류과 조개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3.1%로 전체 물가지수 상승률(1.0%)을 크게 웃돌았다. 보고서는 생사료 사용 금지, 알 밴 생선 유통 자제 등 어린 물고기 남획을 막기 위한 정책 마련, 중국 어선 불법 조업 문제에 대한 외교적 노력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