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출생아 수도 3만명을 가까스로 넘기며, 한 해 전보다 급감했다. 지난해 12월부터 10개월째 두자릿수 감소율을 이어갔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인구동향’을 보면, 9월 출생아 수는 3만1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300명(12.5%) 줄었다. 통계청이 2000년 월별 인구동향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로 9월 기준 가장 적은 규모다. 3분기 누적 출생아 수도 27만8100명으로, 한 해 전(31만6900명)보다 3만8800명이나 줄었다.
통계청은 올해 연간 출생아 수가 36만명 선에 그쳐 처음으로 40만명대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한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4분기 합계출산율을 지난해와 같은 수준(0.26명)으로 가정하더라도 올해 합계출산율은 1.07명에 그친다. 이는 역대 최저 출산율을 기록한 2005년 1.08명보다도 낮은 수치다.
올해도 저출산이 심화되면서, 2001년 이후 17년째 초저출산(합계출산율 1.3명 미만) 국가라는 오명을 벗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우선 가장 아이를 많이 낳는 30대 초반 여성 인구수가 크게 줄고 있는 점을 원인으로 꼽는다. 지난해 기준 여성 인구를 보면, 34살은 40만4천명인 데 견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인구수가 줄어 29살은 29만9천명에 그쳤다. 통계청 관계자는 “1980~90년대 산아제한정책과 출생아들의 불균형 성비가 30년 뒤 아이를 낳을 엄마가 부족하게 된 문제로 부메랑이 돼 돌아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혼 자체도 감소하는 추세다. 3분기 누적 결혼 건수는 19만5천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2만7800건)에 견줘 3만2800건(5.3%)이나 줄었다. 특히 앞으로 출산할 가능성이 큰 30대 초반 남성과 20대 후반 여성의 결혼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아울러 만혼으로 출산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저출산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꼽힌다.
역대 정부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저출산 대책을 수립해왔지만 출생아 수가 늘기는커녕 더 급감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다음달 저출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김상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21일 기자간담회에서 “국가 시각에서 ‘저출산’이 아니라 개인 시각에서 ‘행복’ 문제로 저출산 문제에 접근하려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2006년부터 올해까지 저출산 대책에 126조4천억원을 쏟아부었다. 내년에는 올해(24조1천억원)보다 10.5%(2억5천억원) 많아진 26조6천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정은주 허승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