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이후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 수준이 정규직의 절반을 밑돌다가 올해 들어 다시 50%대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몇년 새 이루어진 최저임금 인상이 정규직-비정규직 간 임금격차를 좁히는 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의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 보고서를 보면, 올해 6~8월 기준으로 정규직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306만원으로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었다. 반면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151만원에서 156만원으로 3.6% 올랐다. 그 결과 정규직 임금 대비 비정규직의 임금 수준은 49.2%에서 51%로 높아져, 2007년(50.1%) 이후로는 처음으로 5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당 임금으로 따져보면, 정규직은 1만6698원으로 지난해(1만6795원)보다 97원(0.6%) 줄어든 데 반해 비정규직은 지난해 9312원에서 올해 9676원으로 364원(3.9%) 올랐다. 이에 따라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비중도 55.4%에서 58%로 높아졌다.
노동사회연구소의 김유선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1년간 정규직의 임금은 제자리걸음이었지만 최저임금이 오른 영향으로 비정규직 임금은 올라 임금격차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내년엔 최저임금 인상폭이 커서 임금격차가 더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올해 최저임금은 지난해보다 7.3%(440원) 오른 시간당 6470원이고, 내년엔 16.4%(1060원) 오른 7530원이 된다. 올해 최저임금 수혜자가 174만7천명이었는데, 내년에 그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 보고서는 통계청이 올해 8월에 조사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토대로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를 분석한 것이다. 통계청과는 비정규직을 포괄하는 범주가 다른데, 계약직·일용직·파견·용역직 등뿐만 아니라 고용계약을 맺지 않고 오랫동안 임시로 일하는 장기임시직을 포함하는 등 좀더 폭넓게 잡고 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통계청이 발표한 비정규직 규모는 654만2천명(전체 임금노동자의 32.9%)이고, 노동사회연구소가 추산한 규모는 842만7천명(42.4%)이다. 통계청 발표 기준으로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임금 비중은 55% 정도다. 김유선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비정규직의 95.3%(804만명)가 임시근로자이거나 임시근로를 겸하고 있어 다른 나라에 비해 고용이 매우 불안정하다”고 설명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