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이 사상 최고치인 10%에 육박한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청년 일자리 문제를 국가적 과제로 삼아 직접 챙기겠다”고 10일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가 이전 정부와 다르게 청년 일자리 해법으로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이어서, 집권 2년차에 접어든 올해 어느만큼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새해 기자회견에서 “취업시장에 진입하는 20대 후반 청년 인구가 지난해부터 2021년까지 39만명 증가했다가, 2022년부터는 정반대로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청년 일자리는 이러한 인구구조 문제에 직면하고 있어 앞으로 3~4년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은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아, 대통령이 직접 추진 상황을 점검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했다.
대통령의 새해 기자회견에서도 청년 일자리 문제가 떠오른 것은 청년층 고용 사정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는 탓이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연간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해 15~29살 청년 실업률은 한 해 전보다 0.1%포인트 오른 9.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견줘 전체 실업률은 전년과 같은 3.7%였다.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도 22.7%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 올라 체감실업률도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실업률 상승과 관련해 통계청은 최근 공무원 추가 채용(11월)과 지방직 공무원 시험(12월)이 있어서 그동안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 취업준비생들이 대거 실업자로 옮겨온 영향도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리고 이를 마중물 삼아 민간 일자리도 창출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