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22일 오후 한국지엠(GM) 사태 등 주요 현안 설명을 하기 위해 정부세종청사 내 기재부 기자실로 향하고 있다.
정부가 22일 한국지엠(GM) 경영정상화 방안을 두고 협의를 요청한 미국 제너럴모터스(GM)에 ‘대주주의 책임있는 역할’ 등 3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경영정상화 방안을 정부에 공식 제출해줄 것을 요청했다. 일방적으로 군산공장 폐쇄 계획을 발표하며 우리 정부를 압박하는 지엠의 ‘벼랑 끝 전술’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지엠 정상화를 위한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 구조조정 원칙에 따른 주주·채권자·노동조합을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고통 분담, 당장 어려움을 넘기는 응급처치가 아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이라는 3대 원칙에 따라 한국지엠 정상화 방안에 대해 협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주 초 관계 장관들이 모여 경제현안간담회를 열고 이런 원칙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앞서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등 정부 관계자들은 이날 오전 배리 엥글 지엠 본사 해외사업본부 사장을 만나 이런 입장을 전달했다. 이에 대해 엥글 사장은 3대 원칙을 합리적이라고 평가하고 이른 시일 안에 경영정상화 방안을 제출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정부는 전했다.
김 부총리는 “지엠과 관련한 실사를 통상적으로 하는 것보다 빨리 해야 할 것”이라며 “실사가 끝나기도 전에 어떤 것(지원책)을 내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군산공장 폐쇄로 인한 지역 고용위기 우려에 대해 김 부총리는 “정부가 할 수 있는 여러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하얀 정은주 기자
chy@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