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지난해 합계출산율 1.05명 ‘역대 최저’

등록 2018-02-28 11:59수정 2018-02-28 14:58

출생아 35만7700명 최저, 사망자 28만5600명 최고
지난 12월 사망자 수, 출생자 수 첫 역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26일 오후 청와대에서 제6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간담회를 주재하기 앞서 김상희 부위원장 등 위원들과 차담회를 갖고 대화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26일 오후 청와대에서 제6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간담회를 주재하기 앞서 김상희 부위원장 등 위원들과 차담회를 갖고 대화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0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가임기 여성 한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다. 우리나라는 2001년 이후 ’초저출산 사회’(합계출산율 1.3명 미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치(2015년 기준)는 1.68명이며, 우리나라는 꼴찌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35만7700명으로 한해 전(40만6200명)보다 11.9%나 줄었다. 감소 폭이 10%를 웃돈 것은 2001년(12.5%), 2002년(11.3%) 이후 세 번째다. 합계출산율은 2005년 1.08명으로 최저치를 찍은 뒤 소폭 반등과 하락을 거듭해왔는데, 12년 만에 다시 1.10명 밑으로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0.84명으로 가장 적고, 부산(0.98명), 인천(1.01명), 광주(1.05명)가 평균을 밑돌았다. 세종은 1.67명으로 가장 많았다.

연령별 출산율은 40살 이상을 제외한 모든 나잇대에서 줄어들었는데, 특히 주 출산 나이인 30대 초반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연령별 출산율은 해당 연령 여성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다. 30대 초반은 여성인구 1천명당 110명 출산을 유지했으나, 지난해에는 97.9명으로 뚝 떨어졌다. 20대 후반 출산율도 10년 전엔 30대 후반보다 4배 가까이 높았지만, 지난해에는 47.8명으로 30대 후반(47.2명)과 비슷해졌다.

반면 지난해 사망자 수는 한 해 전보다 1.7%(4800명) 증가한 28만 5600명으로 사망원인 통계를 작성한 1983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인구 1천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사망률은 5.6명으로 1년 전보다 0.1명(1.5%) 늘어났다. 조사망률은 2004~2009년까지 5.0명을 유지하다가 2010년부터 증가하는 추세다. 사망률 성비는 1.2배로 남성 사망률이 여성 사망률보다 높았다. 특히 50대의 사망률 성비는 2.9배로 최대치였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적어지고, 사망자 수는 많아지면서 자연증가는 2016년(12만5400명)에 견줘 42.6%나 감소한 7만2천명으로 집계됐다. 역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사망자 수(2만6900명)가 출생자 수(2만5천명)를 처음으로 앞질렀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합계출산율이 낮은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면 우리나라 총인구가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서는 시점이 2031년에서 2027년으로 앞당겨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