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회의에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1일(현지시각) IMF 본부에서 스티브 므느신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양자 면담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현지시각) 우리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내용 공개와 관련해 “점진적으로 하면서, 연착륙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외환시장 개입내용 공개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의미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와 국제통화기금·세계은행 춘계회의에 참석한 김 부총리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등과 잇따라 만나 외환시장 개입내용 공개방안을 조율했다. 정부는 공개 시기와 방법 등을 확정해 이르면 다음 달에 발표할 계획이다.
김 부총리는 이날 므누신 장관과 가진 회담에서 “아이엠에프의 권고, G20 합의문,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및 여타국 사례뿐 아니라 국내 외환시장과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외환시장 개입내용 공개를)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가 상반기 중 가입 여부를 정하기로 한 티피피의 2015년 ‘티피피 회원국 거시정책당국의 공동선언’은 분기별로 매수·매도 총액을 각각 공개하도록 했지만, 베트남·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는 반기별로 매도와 매수를 합친 순매수액 규모만 공개하는 것으로 합의하기도 했다. 이에 우리나라도 3개월 이내 시차를 두고 분기별 개입내용을 공표하되, 처음엔 순매수 내용을 공개한 뒤 매수·매도 총액으로 확대할 것으로 점쳐진다.
김 부총리는 “외환시장 개입내용 공개는 우리처럼 성숙한 경제와 외환시장을 가진 나라는 해야 할 일”이라며 “IMF나 미국, G20과 대화도 하고 요구도 받지만, 결정 자체는 우리가 독자적으로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