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비틀스‘로 불리는 방탄소년단(BTS)이 소속된 기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기업가치가 최대 2조3천억원으로 유니콘기업(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수준에 올라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방탄소년단의 성공 요인 분석과 활용방안’ 보고서에서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2018년 기준 기업가치가 1조2800억(11억6천만 달러)~2조2800억원(20억7천만달러)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 증시에 상장된 엔터테인먼트 3대 기획사 에스엠(SM)엔터(1조604억원), 제이와이피(JYP)엔터테인먼트(9296억원), 와이지(YG)엔터테인먼트(5805억원)의 5일 시가총액을 훌쩍 뛰어넘는다. 보고서는 3대 기획사의 지난해 실적과 주가수익비율(PER)과 순부채를 토대로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상대적인 기업가치를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2018년 매출액은 2142억원이며 영업이익은 641억원, 순이익은 502억원으로 2016년 대비 6배가 넘는 성장이 이뤄졌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에 힘입어 기획사의 재무성과와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방탄소년단의 성공 요인으로 구성원의 역량과 기획사의 역할,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과 해외 음악시장 성장,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류 문화, 경쟁력 있는 음악 콘텐츠와 두터운 팬층을 꼽았다.
먼저 구성원의 창의성이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적 환경 조성과 음악산업을 선도해 나가려는 기획사의 경영 전략이 주효했다고 판단했다. 특히 기획사가 콘텐츠 중심의 플랫폼 기업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지닌 기업전략을 추구했다고 평가했다.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과 잠재력 높은 해외 음악시장은 성공의 수요조건을 충족했다. 방탄소년단은 정보통신기술(ICT)에 능숙한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해 소셜미디어에 콘텐츠를 직접 공유하는 방식으로 소통을 적극 확대했다. 미국과 일본 등 시장 규모가 큰 해외 음반시장을 공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였다.
디지털 콘텐츠 산업과 한류 등 연관산업의 발전은 방탄소년단의 성공을 뒷받침했다. 방탄소년단은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핵심 플랫폼으로 인식하고 음악 유통과 마케팅에 적극 활용했다. 글로벌 디지털 콘텐츠산업 시장은 오는 2021년 2조1천억 달러로 2016년 대비 약 1.7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력 있는 음악 콘텐츠와 두터운 팬층은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케이팝(K-pop) 특유의 안무뿐 아니라 힙합풍의 리듬, 전자음악이 매력을 발산했으며 청년층의 고민과 사회적 이슈가 담긴 시리즈 형식의 앨범도 기대감을 충족했다. 팬층은 북미, 아시아 등 다양하게 분포돼 있으며 팬클럽 아미(ARMY)를 매개로 결집했다.
방탄소년단은 상대적으로 소규모 기획사 출신이었지만, 소비시장에서 글로벌 트렌드 인식,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해 브랜드 로열티가 높은 충성고객을 확보했다는 점은 국내 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방탄소년단의 성공은 국내 기업들에 해외시장 공략, 브랜드 가치 제고, 관광 상품과 문화콘텐츠 개발 등 사업적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파급효과가 있는 연관산업은 방송, 영상·영화, 문화·여행 등 서비스 산업과 식음료, 화장품, 의류, 자동차, 가전, 유무선 통신기기(IT) 등 소비재 산업으로 분석됐다.
2012년 싸이(PSY) 이후 한류의 미개척 시장이라 판단됐던 북미, 남미, 유럽 등지에서 방탄소년단이 크게 호응을 얻었다는 점에서 신한류 문화의 확산과 국내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한류와 연계한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마련하고 글로벌 수준의 문화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양질의 콘텐츠를 육성해야한다는 것이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