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고한 경제와 재정 펀더멘탈이 대외 여건 충격 완화
경제·제도 강점 ‘매우 좋음’, 재정 강점 ‘매우 좋음+’
컨테이너가 들어선 부산 항만의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 ‘Aa2’로 유지했다. 대외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재정적 강점이 건재하다는 평가에 따른 것이다. 무디스는 8일 발간한 ‘연례 신용분석보고서’에서 한국의 신용등급을 ‘Aa2’로 유지했다. 불확실한 대외무역 전망에 따른 충격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경제와 재정의 펀더멘탈이 이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디스는 지난 2015년 12월 한국의 신용등급을 ‘Aa3’에서 ‘Aa2’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등급에 대한 전망 역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이 보고서에서 4가지 측면에서 신용등급을 평가했다. 한국은 이 가운데 경제적 강점과 제도적 강점 분야에서 ‘매우 좋음’ 평가를 받았다. 재정적 강점은 이보다 높은 ‘매우 좋음+’ 평가를, 리스크 민감도는 ‘보통’으로 평가를 받았다.
무디스는 보고서에서 “무역 의존도로 인한 단기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는 비슷한 신용등급을 가진 국가들과 비교해 매우 다각화돼 있으며 경쟁력이 높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이어 “빠른 인구 고령화에 따른 장기적 경제 및 재정 비용”을 한국의 신용등급 관련 도전 과제로 언급했다. 기획재정부는 “대외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서도 글로벌 신용평가사의 한국 경제 전반에 대한 평가가 여전히 양호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