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마친 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헌 금감원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홍 장관, 최종구 금융위원장.연합뉴스
증시가 폭락한 이달 들어 주식을 빌려 파는 공매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검토하고 있는 공매도 규제 방안이 실행되면 투자심리 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 자료를 보면, 이달(1~6일) 하루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코스피+코스닥)은 5546억원으로 지난달(4112억원)에 견줘 35%나 늘어났다. 특히 주가가 폭락한 지난 5~6일에는 모두 6천억원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외국인이 공매도로 팔아치운 금액은 전체 공매도 거래대금의 68%에 달했다. 특히 5일 코스닥에서는 외국인 공매도 비율이 82%까지 치솟았다. 다음날 외국인이 코스닥 시장에서 사상 최대 순매수(2866억원)를 기록한 것도 공매도 과정의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주가 하락에 베팅해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로 주가가 폭락하자 헐값에 되사들여 단기 차익을 얻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공매도 물량은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공매도에 앞서 이뤄지는 대차잔고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한국예탁결제원 자료를 보면, 빌린 주식의 평가액인 대차잔고는 지난달 말 57조5460억원으로 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6일 현재 58조원을 넘어섰다.
공매도는 부정적인 정보를 주가에 빠르게 반영해 시장의 유동성을 늘리는 순기능도 있지만 증시가 불안정할 때는 주가 하락을 부채질한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특히 외국인과 국내 기관이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는 수단으로 공매도를 과도하게 활용해 이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피해의식이 매우 크다. 이에 정부도 공매도를 다시 규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7일 “시장 참여자들이 관심이 큰 공매도 (규제) 강화 방안은 검토를 충분히 했고 언제든지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공매도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10월과 유럽 재정위기가 한창이던 2011년 8월 한시적으로 금지된 적이 있다. 이 시기에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도 공매도를 금지했다. 시장이 공포감에 사로잡혀 이성적인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공매도가 시장 불안을 증폭시킨다는 점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공매도를 금지한 기간에 국내증시는 반등하지 못했지만 투자심리 안정 효과는 어느정도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2008년 공매도 금지기간에 코스피는 3.4% 하락했지만 코스닥 지수는 10% 상승했다. 줄곧 자금을 빼가던 외국인은 이 기간에 5조1천억원을 순매수했다. 2011년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12.1%와 9.9% 하락했다.
현재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6거래일 연속 주식을 팔아 순매도 금액이 1조5천억원에 육박하고 있다. 한대훈 에스케이(SK)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규제 등 정부의 증시 안정대책이 실행되면 500선까지 추락한 코스닥의 투자심리를 진정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광덕 선임기자
kdh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