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구개발(R&D) 기획 단계부터 국제기준 표준화를 연계할 수 있도록 제도 정비에 나선다. 수소경제, 지능형 로봇 등 새롭게 부상하는 산업 분야에서 표준화를 선점한다는 포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5~6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표준 아르앤디(R&D) 혁신방안’을 발표한다. 주요 추진방안으로는 기획 단계부터 표준연계를 강화하고 수행기관의 표준화 활동 참여를 늘리기 위한 연구개발 관리규정 개정을 추진한다. 과제 기획 때 표준화 동향조사 및 표준전문가 참여를 의무화하고 연구개발 성과를 활용해 국가·국제표준 제정 실적이 있는 연구자가 연구개발 과제를 신청할 때 가점을 부여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또 국가표준 기술력 향상사업을 통해 분야별 표준화전략 로드맵에 포함된 아이템의 국제표준개발을 우선으로 지원한다. 지난 4월 표준화전략로드맵을 발표한 수소 경제와 11월 발표 예정인 지능형 로봇·비메모리, 이밖에 성장하고 있는 신사업 분야인 전기·자율차, 바이오·헬스, 디스플레이, 드론·해양구조물, 스마트시티·홈, 스마트팜 등이 해당한다.
이밖에 국가기술은행에 등록된 범부처 연구개발 결과물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을 추진하고 4차 산업 관련 융복합 시스템 분야 국제표준 개발 과제를 대형 프로젝트 형태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표준화 경험이 부족한 중소·중견 기업에는 전문가 매칭, 표준교육 실시, 헬프 데스크 운영 등의 지원을 한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표준 아르앤디 혁신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소재·부품·장비 분야를 포함한 아르앤디 개발기술의 국제표준화를 통해 글로벌 신뢰성을 확보하고 수출증대 및 투자유치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