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나주에 위치한 한국전력 본사 건물. 한국전력 제공
한국전력이 지난해보다 저조한 3분기 실적을 내면서 전기요금 인상 논의가 다시 불붙을지 주목된다.
한전은 13일 올 3분기에 매출액 159조1221억원, 영업이익 1조2392억원을 올렸고 1~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3107억원이라고 공시했다.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1조3952억원에 견줘 영업이익은 11.2% 낮아졌고 순이익은 7372억원에서 2410억원으로 67.3%나 떨어졌다. 1~3분기 누적 순손실은 932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318억원)보다 갑절 이상 적자가 늘어났다.
한전은 여름철 전기수요 급증이 3분기 실적 상승을 이끌며 1·2·4분기의 낮은 매출을 상쇄하는 구조다. 2017년 4분기부터는 3분기를 뺀 전 분기의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로 떨어지면서 3분기 상승치가 더 중요해졌다. 그런데 3분기 영업이익도 계속 하락하면서 수익구조가 악화하자 한전 쪽은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한전 쪽은 3분기 이익이 감소한 요인으로 지난 여름 폭염일수가 줄어 전기판매 수익이 감소하고 정기점검, 부실확인으로 인한 특별점검 등으로 원전 이용률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분기에 6기였던 정비원전은, 한빛4호기 격납건물에 대형 공극이 발견되는 등 안전문제가 대두하면서 3분기에 13기로 늘어났다.
한전은 4분기 전망과 관련해 “유연탄 등 연료 가격 하락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나, 무역분쟁에 따른 환율 상승 등 대내외 경영환경 불확실성 증가에 유의하면서 신기술 적용, 공사비 절감 등 재무개선을 지속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속내는 늘어나는 에너지 정책 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 에너지 전환정책과 전기차 전기요금 할인, 여름철 누진제 요금 완화 등 각종 특례할인으로 재무상태가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다는 게 한전 쪽 입장이다. 김종갑 한전 사장은 국정감사와 언론 인터뷰 등에서 “한시적 특례할인 제도는 일몰시켜야 한다. 예측 가능한 전기요금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등 전기요금 현실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밝혀왔다. 한전은 이달 말 전기요금 체계 개편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 개편안을 검토해 내년 상반기까지 전기요금 개편방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