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만드는 노인 일자리가 올해 13만개 늘어날 예정이다. 또 저소득층 노인의 소득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부터 동절기에도 일자리를 제공해 1월부터 일할 수 있게 됐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은 설 명절을 하루 앞둔 23일 충북 청주시 우암시니어클럽을 방문해 이런 노인 일자리 현황을 설명하고, 노인 일자리 사업 취업자들의 애로 사항을 들었다. 이날 구 차관이 방문한 우암시니어클럽에는 노인 바리스타가 직접 커피를 내리는 카페 디디를 비롯해 반찬 전문점, 배달대행 등 24개 사업단이 총 1144개의 노인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다. 정부가 올해 계획하고 있는 노인 일자리 규모는 총 74만개로 지난해보다 13만개 늘어난 수준이다. 노인 일자리 사업에 배정된 예산은 2018년 6349억원, 2019년 9228억원, 올해 1조2015억원으로 2년 새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정부는 올해부터 노인 일자리 기간을 최대 12개월로 연장해 1월부터 일할 수 있도록 기간을 늘렸다.
일자리 여건과 제도 개선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실버 카페나 반찬 가게 등 사업단이 소규모 매장을 운영하면서 노인을 채용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일자리에는 지원 단가를 연 230만원에서 267만원으로 인상했다. 또 보육시설 돌봄 지원 및 장기요양서비스센터 등에서 일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의 경우는 당초 기초연금 수급자에서 65살 이상 전원으로 지원 자격을 넓혔다.
구 차관은 “일하는 복지 실현을 위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어르신과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및 노인인구 진입에 따른 노인 일자리 수요 확대를 충족하는 한편, 어르신들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인 일자리 모델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