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의 가정 내 쌀 소비량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 양곡소비량조사 결과’를 보면, 2019 양곡연도(2018년 11월1일~지난해 10월31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9.2㎏으로 전년보다 3.0% 줄었다. 이는 30년 전인 1989년의 연간 소비량(121.4㎏)의 절반 수준이다. 가구 내에서 1인당 소비되는 쌀 소비량은 1970년(136.4㎏) 이후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쌀과 기타 양곡을 포함한 연간 양곡 소비량도 67.4㎏으로 1년 전보다 3.0% 감소했다.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은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62.1g에 그쳤다. 시판되는 즉석밥이 하나에 210g인 점을 고려하면, 하루에 즉석밥 하나도 먹지 않는 셈이다.
다만 식사 대용 조리식품의 원료로 쓰이는 쌀 소비는 늘었다. 선식, 누룽지 등을 만드는 데 쓰이는 기타 곡물가공품 제조업에서 쌀 5만6천t이 소비돼 전년보다 24.2% 늘었다. 또 떡류(17만6천t), 면류·마카로니 및 유사식품(2만t), 과자류 및 코코아 제품 제조업(9천t) 등도 소비량이 늘었다. 도시락 및 식사용 조리식품에는 14만5천t이 사용돼 1년 전보다 조금 줄었지만, 백미 대신 잡곡 사용량이 늘어난 영향으로 추정된다.
한편 탁주 및 약주 제조업에 사용되는 쌀 소비량은 지난해 4만9천t으로 1년 전보다 18.5% 줄었다. 통계청은 음주 문화 변화에 따른 막걸리 소비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했다. 주정 제조업에 사용된 쌀 소비량은 19만1천t으로 전년보다 2.0% 늘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