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전에 3만9000원 주고 산 마스크 60개가 지금 23만원이네요”, “50개를 150만원에 올려놓은 곳도 봤어요.”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2일 올라온 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온라인 오픈마켓에서는 ‘마스크 대란’이 한창이다. 선호 제품이 품귀 현상을 빚으면서 일부 개인사업자들이 가격을 천정부지로 올려놓은 탓이다. 정부는 마스크 생산업체에 1일 1천만개 생산을 독려하는 한편, 사재기 등 시장교란 행위를 강력하게 단속할 계획이다.
이날 일회용 마스크 판매 사이트 대부분에서는 성인용 대형 사이즈 등 주요 제품이 품절 상태였다. 지난달 20일부터 30일까지 지(G)마켓의 마스크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0배 넘게 늘었다.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도 재고가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서울 명동 등 관광객이 많은 지역은 동이 났고 주택가 등 유동인구가 적은 매장에서는 아직 마스크를 팔고 있지만 재고가 급속하게 줄고 있다”며 “추가 확보도 쉽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구매 제한’을 두는 곳들도 있다. 이마트 용산점은 1인당 10개, 트레이더스는 1인당 한 상자씩으로 구매에 제한을 두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제조업체 공급이 평소보다 줄지 않았지만 판매가 8~10배 늘어나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는 형편”이라며 “매일 한두번씩 새로 제품을 전시하고 있는데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마트는 서울역 등 손님이 많은 일부 매장에서 구매 제한을 두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마스크 제조업체인 유한킴벌리는 생산라인 조업을 모두 가동하고 있다. 유한킴벌리 관계자는 “겨울철 황사, 미세먼지 수요에 바이러스 관련 수요까지 늘어난 상태”라고 말했다. 유한킴벌리 쪽은 “공급가에 변화는 없다”며 일부 개인사업자들의 과도한 가격 인상을 우려했다.
정부는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신종 코로나 대응 회의를 열어 “보건용 마스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제조업체와 비상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24시간 공장을 가동해 하루 1천만개 이상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공정거래위원회·국세청·지방자치단체 등 120명으로 구성된 범정부 단속반은 마스크 사재기, 매점매석 등 시장교란 행위를 단속하고 있다. 이의경 식약처장은 “설 연휴 기간 등에 생산이 저조했고 보따리상의 대량 구매와 일부 업체의 불공정 행위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며 “범정부 합동 단속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국민들이 마스크를 구하는 데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은형 이경미 기자
dmsgud@hani.co.kr